문제

다음 중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금리 관계가 잘못된 것은?

① COFIX(자금조달지수) 금리<은행 대출금리
② 제2금융권 대출금리<은행 대출금리
③ 대기업 대출금리<중소기업 대출금리
④ 기업어음(CP) 유통수익률<회사채 유통수익률
⑤ 실질금리<명목금리


해설

COFIX 금리는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을 반영해 만들어졌다. 종전에는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가 대출금리 기준이었으나 CD 금리가 변동성이 너무 커 실제 자금조달 비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2010년 2월 도입됐다. 은행연합회가 주요 은행들의 자금조달 금리를 조사해 매월 발표한다. 은행들은 COFIX 금리에 고객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를 더해 대출금리를 결정한다. 따라서 은행의 대출금리는 COFIX 금리보다 높다. 금리는 대출자의 신용에 영향을 받는다. 대출받는 기업이나 사람의 신용이 낮으면 금리는 높아진다. 또 만기가 길면 길수록 회수불능 위험이 높아지므로 금리는 올라간다. 1금융권보다는 제2금융권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대출금리가 높다. 회사채는 만기가 최소 1년 이상으로 만기가 3개월 미만인 기업어음보다 금리가 높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이다. 물가가 하락하지 않는 한 명목금리가 실질금리보다 높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