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가 고객과의 소통에 직접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6일 신세계에 따르면, 오는 7일부터 신세계백화점은 인터넷 동영상과 페이스북을 통한 홍보를 시작할 예정이다.

'동영상 전단 광고'는 아나운서와 전문 캐스터가 주요 쇼핑 뉴스와 다양한 문화이벤트 등을 영상으로 설명한다. 이 동영상은 백화점 홈페이지, IPTV,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트위터·페이스북 등에 올려 지난 1월 폐지한 종이 전단을 대체하게 된다.

또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일종인 페이스북도 오픈한다. 쇼핑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고객 의견을 듣는 창구로 이용하겠다고 신세계측은 설명했다.

신세계의 이 같은 발표는 한 달여간 '트위터 침묵'을 지키고 있는 정용진 부회장의 행보와는 대조적이다. 정 부회장은 한지희씨와 결혼 전날일 지난달 9일을 마지막으로 트위터 업데이트가 없는 상태다.

정 부회장은 지난해 트위터 계정(http://twtkr.com/yjchung68)을 개설하고 '소통 경영'에 노력해왔다. 개인적인 일상생활에서 사회적인 이슈, 경영전반에 관한 것까지 내용들을 두루두루 써놓았다.

그는 트위터 소개글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영등포점, 경기점 등 주요지점의 트위터 주소를 넣어 놓았다. 때문에 팔로워에게 정 부회장의 트위터는 개인적인 트위터인 동시에 신세계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인식됐다.

정 부회장의 팔로워는 이 날까지 11만4000명을 넘어섰다. 신세계백화점 개별지점들의 팔로워가 1만명대인 점을 감안하면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는 정 부회장의 파급효과는 그만큼 크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트위터는 맞팔(트위터 사용자가 서로 팔로우 하는 것) 등을 통해 서로 이야기하는 분위기지만 페이스북은 홈페이지 성격이 강하다"며 "단순히 신세계의 홍보효과만 보자면 정 부회장의 트위터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신세계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올해 초 조사한 매체별 고객 접촉률에서 인터넷이 63%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모바일이 18%, 신문이 12%, IPTV가 7% 순으로 나타나 인터넷을 통한 적극적인 광고 기법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