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금융검찰'로 불리는 금융감독원 수장은 금융기관을 상대로 막강한 감독 지휘권을 휘두르지만, 주요 금융비리 사건에 연루돼 심심찮게 검찰의 수사 선상에 오르기도 했다.

역대 금감원장 출신 중에는 검찰과 악연을 맺은 이들이 많다.

9일 오전 대검 중수부에 출석한 김종창(63) 전 원장을 포함하면 금감원장 출신 인사 5명이 피의자 또는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청사에 출석했다.

권혁세 현 원장을 제외하고 역대 7명의 수장 중 절반이 훨씬 넘는 숫자다.

이중 금감원과 금융위원회 재직 중 비리 의혹에 연루돼 검찰에 불려간 전직 금감원장만 쳐도 3명이나 된다.

2대 이용근 전 원장(2000.1~2000.8)은 금융위 상임위원과 부위원장으로 재직하던 1998~1999년 나라종금에서 청탁과 함께 4천800여만원을 받은 혐의로 2003년 구속기소돼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3대 이근영 전 원장(2000.8~2003.3)은 2001년 골드상호신용금고 인수를 시도하던 김흥주씨를 김중회 당시 금감원 부원장에게 소개해주고 관련 보고를 묵살한 의혹으로 2007년 검찰에 소환됐다.

이근영 전 원장은 `대북송금 의혹사건'과 관련해 산업은행 총재 시절인 2000년 6월 현대그룹에 불법대출을 해준 혐의로 2003년 구속기소돼 대법원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이 확정되기도 했다.

이밖에 초대 이헌재 전 원장(1998.3~2000.1)은 퇴직 후 발생한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 사건과 관련 2006년 참고인으로 대검 중수부에 나온 적이 있다.

이 전 원장은 외환은행 매각 당시 인수자인 론스타의 법률자문을 맡은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고문을 지냈다.

4대 이정재 전 원장(2003.3~2004.8)도 외환은행 매각 당시 금감원장으로 재직했다는 이유로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7대 김종창 전 원장(2008.3~2011.3)은 평소 친분이 있는 은진수(50.구속) 전 감사위원을 통해 부산저축은행그룹에 대한 검사 무마 청탁을 받고 부당하게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과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한 아시아신탁 주식을 금감원장 취임 이후에도 명의신탁한 정황이 포착돼 유착 의혹을 받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웅 나확진 기자 abullapia@yna.co.krra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