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전국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7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9일 국민은행의 ‘5월중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5월중 전국 아파트의 전세가 비율은 59.0%로 2004년(59.5%) 이후 7년만에 최고점을 찍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전세를 구한던 사람이 집을 사게 되는 기준점을 ‘전세가 비율 60%’로 잡고 있어 주목된다.수도권은 전세가 비율이 60%까지 올라가기 전에도 매매시장이 활성화됐던 전례가 있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전세가 비율 상승은 수도권이 주도했다.서울지역 전세가율은 2009년 2월(38.3%) 최저점을 찍은 뒤,꾸준히 올라 5월에는 47.0%를 나타냈다.수도권 전세가율도 2006년 10월 이후 최고치인 49.7%에 달했다.

지방은 전세가 비율의 절대적 수치가 수도권보다 훨씬 높았지만 최근 부산·경남과 대전 등지 집값 상승으로 전세가 비율은 낮아졌다.지난 1월 68.4%였던 부산지역 전세가 비율은 4개월 연속 감소해 지난달 말 67.5%로 떨어졌다.대전과 경남도 각각 70.3%와 65.1%로 내려갔다.경남은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내림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전세가 비율 상승을 매매시장 부활의 조짐으로 해석하고 있다.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지역별로 구매력이 다르기 때문에 꼭 전세가 비율 60%를 넘겨야 시장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면서 “서울은 2005년 전세가가 매매가의 50%를 넘자 매매가가 올랐다”고 말했다.이어 “올가을 전셋값이 3~4% 추가로 오른다고 가정할 때,빠르면 올 연말,늦어도 내년 초에는 매매시장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