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조성한 디지털 콘텐츠 펀드가 엉뚱한 투자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10일 서울시와 서울산업통상진흥원 등에 따르면 시가 게임과 애니메이션 등의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성한 펀드 자금 중 상당 부분을 원래 목적과는 달리 상업 영화와 코스닥 기업 등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2007년부터 디지털 문화콘텐츠 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로 펀드를 조성, 3차에 걸쳐 150억원을 투자했다.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투자 리스크가 높고 자금 회수 기간이 길어 민간 자본이 투자를 기피,공적 자금으로 이를 지원한다는 취지였다.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은 시의 위임을 받아 펀드를 굴릴 자산운용사를 선정하는 등 디지털 콘텐츠 펀드 운용을 책임지고 있다.

하지만 펀드 설립 만 4년이 지난 10일 현재 디지털 콘텐츠 펀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민간이 투자하는 문화 펀드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시가 출연한 50억원과 KT등 민간 기업의 출자금으로 조성한 2호 펀드는 지금까지 133억원을 투자했으며 이 중 98억원을 디지털 문화콘텐츠가 아닌 '내 깡패같은 애인''친정엄마''김복남 살인사건' 등 상업 영화에 투입했다. 역시 서울시가 50억원을 맡긴 3호 펀드는 아예 정보통신 기기를 생산하는 코스닥 기업에 투자해 3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서울시가 투자에는 성공했지만 공적 자금으로 문화 취약 분야를 지원한다는 취지에서 벗어났다는 지적이 문화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상업 영화와 코스닥 기업은 공공기관이 아닌 개인 투자자나 기관들로부터 충분히 투자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민간 투자자처럼 수익을 앞세우다 보니 정작 펀드 조성 목적인 문화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 셈이다.

저조한 투자 집행률도 도마에 올랐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3개의 디지털 문화콘텐츠 펀드 총액 974억원 중 69.2%인 673억9000만원을 투자하는 데 그쳤다.

이에 대해 서울통상진흥원 관계자는 "해당 펀드의 투자 기간이 아직 2년 이상 남아 있다"며 "앞으로 적극적으로 투자처를 발굴하고 있어 당초 계획한 비율 이상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데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