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그룹을 수사하고 있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김홍일)는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63)을 이르면 이번 주말 참고인 신분으로 재소환할 예정이다.

검찰은 김 전 원장을 9일 오전 참고인으로 불러 이날 밤 12시까지 그동안 제기된 의혹에 대해 추궁했으나 김 전 원장은 의혹 대부분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원장은 "(의혹에 대해) 충분히 해명했다"며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검찰은 그룹 브로커 윤여성 씨(56 · 구속기소)가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50 · 구속)을 통해 김 전 원장에게 로비를 벌이려 했다는 진술을 확보했지만,김 전 원장이 금품을 수수한 물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검찰은 김 전 원장을 재소환해 은씨나 브로커 윤씨 및 그룹 대주주 임원진과 대질신문을 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검찰은 또 김 전 원장이 그룹에서 금품을 받고 지난해 2월 부산저축은행 검사를 중단시키고 검사에서 편의를 봐주었는지에 대해 다시 추궁할 예정이다. 아울러 김 전 원장이 아시아신탁 주식을 차명보유하면서 그룹의 경영이 어려워진 2010년 그룹의 유상증자에 아시아신탁이 참여하도록 압력을 가했는지와 아시아신탁이 금감원 검사를 받지 않도록 금감원장 권한을 남용했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한편 김 전 원장이 서울대 동문 박모씨(63)를 H증권사 사외이사 자리에 앉혔다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검찰에 따르면 그는 원장 재직 시절이던 지난해 금감원 간부를 H증권에 보내 박씨의 취직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원장은 부인 명의 아시아신탁 주식 4만주(시가 약 4억원)를 박씨 명의로 돌려 차명보유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아시아신탁은 이 지분에 최근까지 총 7600만원을 현금 배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씨가 아시아신탁 주식 차명보유에 협조하는 대가로 김 전 원장이 박씨를 증권사 임원으로 보낸 정황을 포착하고 김 전 원장에게 직권남용 등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검찰은 최근 박씨의 사무실을 압수 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으며,박씨를 조만간 소환할 예정이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