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열린 날과 정부의 물가안정대책회의가 열린 날을 비교하면 재미있는 현상이 발견된다. 금통위는 매달 둘째주 목요일에 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에 비해 정부의 물가대책회의는 매주 금요일에 소집된다.

그런데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달을 보면 공교롭게도 정부의 물가대책회의가 열린 날과 겹쳐 있다. 지난 1월과 3월이 그랬다. 1월13일 정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에 육박하자 회의 날짜를 목요일로 앞당겨 '서민물가 안정을 위한 종합대책'을 긴급 발표했다. 같은 시간 한은 금통위는 물가 불안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연 2.75%로 인상했다.

한 달 건너 뛰어 3월10일 기준금리를 연 3.0%로 올릴 때도 비슷했다. 같은 날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민경제대책회의가 열렸는데,주요 안건은 물가대책이었다. 이 대통령은 회의 직후 "성장보다는 물가를 더 심각하게 관리해야 한다"며 경제운영 기조의 변화를 내비쳤다.

그로부터 석 달 뒤,시장의 예상을 뒤엎고 6월 기준금리를 연 3.25%로 올린 지난 10일에도 예외없이 정부의 물가대책회의가 열렸다. 특히 이날은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 장관급 회의를 소집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물가를 잡겠다"고 선언했다. 우연의 일치라고 볼 수만은 없는 대목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 때문에 일각에선 "정부가 물가 안정 신호를 줄 때만 한은이 따라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함에 따라 가계부채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금융당국의 고민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가계 이자부담은 1조8000억원씩 불어난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대책을 고심 중인데,금리인상으로 가계부채 부담이 커진 만큼 이번주에 대책을 앞당겨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최근 가계대출 동향이 16일 발표된다.

15일 열리는 금융위 정례회의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금융위는 이날 회의에서 우리금융 매각을 위한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안을 상정할 예정이다. 개정안은 금융지주회사가 공적자금이 투입된 다른 금융지주회사를 인수하는 경우에 한해 한시적으로 최소 지분 인수 한도를 현행 95%보다 낮추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일각에선 산은지주의 우리금융 인수를 측면 지원하기 위한 차원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는 이런 부담 때문에 지난 1일 정례회의에서 논의를 미룬 바 있다. 15일 회의에서도 결론을 내리지 않을 경우 오는 29일 예정된 우리금융 매각을 위한 투자의향서(LOI)접수가 다시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

경기지표도 줄줄이 발표된다. 15일 통계청은 '5월 고용동향'을,한은은 '5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발표한다. 고용동향에서는 고공행진 중인 청년층 실업률(4월 8.7%)이 떨어졌을지가 관심사다. 이 밖에 국제통화기금(IMF)은 17일 세계경제전망 수정치를 내놓는다.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일부 수정될 수 있다. 같은 날 재정부는 공공기관의 지난해 경영평가 성적을 발표한다.

정종태 경제부 차장 / 정책팀장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