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장애인 모바일 웹 접근성 높이는 기술 선봬

앞이 보이지 않고, 소리가 들리지 않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보다 자유로운 생활을 할 있는 모바일 웹 서비스를 구글에서 선보였다.

14일 구글코리아는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장애인, 노인, 어린이들에게 정보의 접근과 활용을 증진하는 구글의 '웹 접근성' 철학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는 미국의 구글 본사에서 웹 접근성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과학자 티브이 라만 박사가 참석해 관련 기술을 시연했다.

라먼 박사는 "컴퓨터와 인터넷 등 디지털화된 정보는 사람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크게 변화시켰다"면서 "이제는 시각 및 청각 장애를 가진 이들도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웹을 구축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이날 특히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장애인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모바일 웹 접근성을 높이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했다. 예컨대 '토크백'이라는 기술은 텍스트-투-스피치 변환기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행동을 말해주고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주게 된다.

'휴대용무선전화기'와 '교차로탐색기'는 GPS와 스피치 기술을 활용해 시각장애인들이 거리를 다닐 때 스마트폰으로 교차로나 번지수 등을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기능이다.
전방에 건널목이 있다거나 혹은 길을 몰라 헤매고 있을 때 이 기능을 사용하면 시각장애인들은 보다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고 구글 관계자는 설명했다.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보거나 글자를 입력할 필요없이 웹 검색, 주소록 검색,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음성검색'과 '음성액션' 기능도 있다.

구글은 이밖에도 구글 검색, 크롬, G메일, 구글 북스, 구글 맵스 등 구글의 서비스에서 접근성 도구를 지원하고 있다. 구글의 동영사 채널 유튜브는 청각 장애인들도 동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캡션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구글 북스에 등록된 도서들은 각종 언어 및 오디오, 점자로 제공된다. 또 각종 데이터가 디지털화 되면서 인간만이 아니라 기계도 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구글 맵스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자동차가 파악해 스스로 운전하게 하는 기술 등이 그것이다.

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2010년 12월 말 기준 국내 등록 장애인은 2백5십만명 가량이다. 이 중 지체 장애인이 1백30만명, 시각장애인은 24만명, 청각장애인은 26만명으로 집계됐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