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기지표 다시 악화…커지는 '더블딥'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월 물가 0.2%↑…예상치 넘어
뉴욕제조업지수 마이너스 추락
뉴욕제조업지수 마이너스 추락
미국의 경제지표가 다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높아진 반면 제조업 체감지수는 마이너스로 떨어져 '더블딥(경기 회복 후 재하강)'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당초 전문가들은 5월 소비자물가가 4월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지만 예상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가격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월 대비 0.3% 올라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근원물가 상승률 역시 월가가 예상했던 0.2% 수준을 넘어선 것이다.
노동부는 "의류 자동차 주택 등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
반면 제조업체들의 체감 경기는 더욱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6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7.8을 기록,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내려갔다. 이 지수는 뉴욕 지역의 약 2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경기 기대치를 수치화한 것으로 0 이하면 경기 위축,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마켓워치 등이 실시한 사전 조사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6월 엠파이어지수가 5월의 11.9보다 소폭 상승한 13 안팎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자 지수는 마이너스로 추락했다.
생산과 주택 지표도 부진했다. 5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1% 증가해 예상치(0.2%)를 밑돌았다. 전미주택건설협회(NAHB)의 6월 주택지수는 5월(16)보다 낮은 13에 그쳐 작년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표 악화로 글로벌 증시는 타격을 받았다. 이날 소폭 하락세로 출발했던 유럽 증시는 미국의 지표 발표 후 실망매물이 쏟아지며 1% 이상 급락세로 돌아섰다. 미 다우지수도 0.9% 하락 출발한 후 약세를 지속했다.
미국 언론들은 "물가와 제조업 지표가 예상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최근의 경기회복 둔화가 소프트패치(경기회복 중의 일시적인 둔화) 수준을 넘어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
미 노동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당초 전문가들은 5월 소비자물가가 4월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지만 예상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가격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월 대비 0.3% 올라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근원물가 상승률 역시 월가가 예상했던 0.2% 수준을 넘어선 것이다.
노동부는 "의류 자동차 주택 등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
반면 제조업체들의 체감 경기는 더욱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6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7.8을 기록,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내려갔다. 이 지수는 뉴욕 지역의 약 2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경기 기대치를 수치화한 것으로 0 이하면 경기 위축,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마켓워치 등이 실시한 사전 조사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6월 엠파이어지수가 5월의 11.9보다 소폭 상승한 13 안팎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자 지수는 마이너스로 추락했다.
생산과 주택 지표도 부진했다. 5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1% 증가해 예상치(0.2%)를 밑돌았다. 전미주택건설협회(NAHB)의 6월 주택지수는 5월(16)보다 낮은 13에 그쳐 작년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표 악화로 글로벌 증시는 타격을 받았다. 이날 소폭 하락세로 출발했던 유럽 증시는 미국의 지표 발표 후 실망매물이 쏟아지며 1% 이상 급락세로 돌아섰다. 미 다우지수도 0.9% 하락 출발한 후 약세를 지속했다.
미국 언론들은 "물가와 제조업 지표가 예상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최근의 경기회복 둔화가 소프트패치(경기회복 중의 일시적인 둔화) 수준을 넘어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