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발굴·지원 체계 상시 가동

정부가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된 2만3천여명의 소외계층을 찾아냈다.

보건복지부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보호를 위한 전국 일제조사'를 통해 2만3천669명(1만2천135건)의 소외계층을 찾아냈다고 20일 밝혔다.

복지부는 공중화장실에서 생활하는 3남매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알려진 뒤 대통령 지시에 따라 지난달 23일부터 지난 15일까지 행정력 등을 동원해 교각과 창고 등 주거취약 지역에 있는 노숙자와 주민등록 말소자 등을 찾아내 지원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번에 발견된 복지 소외계층 가운데 9천535명은 행정기관의 직권조사를 통해, 8천365명은 본인 신고로, 5천769명은 제3자의 신고를 통해 존재가 확인됐다.

복지부는 이번에 발견된 1만2천135건 가운데 4천5건(33%)에 대해 긴급복지, 기초생활수급, 민간후원 등의 지원을 했으며 5천88건(42%)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치를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 과정에서 구축된 소외계층 발굴·지원 체계를 상시 가동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발굴체계(종교단체, 자율방범대, 통·리·반장, 상담센터 등)도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조직화되도록 할 예정이다.

진수희 복지부 장관은 "우리 사회 곳곳의 복지 소외계층이 줄어들도록 소외계층 발굴 및 지원 체계를 상시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meola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