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8월 인사를 앞두고 그동안 진행해온 증권 · 금융 분야의 굵직한 수사를 마무리해가는 가운데 '키코(KIKO)' 수사만 감감무소식이다. 환헤지상품인 키코 가입 중소기업들이 지난해 2월 판매한 은행들을 사기죄로 고발한 지 벌써 1년4개월째다.

22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는 이르면 다음 주 도이치은행의 '11 · 11 옵션쇼크' 시세조종 수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검찰은 이날 영국에서 온 도이치은행 최고위급 임원 A씨를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도이치은행 본사가 옵션쇼크에서 시세조종에 관여했는지 여부를 조사한 뒤 수사를 마무리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금조2부는 ELW 부정거래 의혹과 관련해 이날 증권사 사장 1명을 추가 소환해 조사했다. 지금까지 소환조사를 받은 증권사 사장은 12명이다. 검찰은 23일 오후 스캘퍼(초단타매매자) 18명을 사법처리하는 등 수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국내외 증권사와 은행 4곳의 주가연계증권(ELS) 시세조종 수사 결과도 다음 주 발표한다. 그러나 키코 사건은 수사가 언제 마무리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검찰은 당초 지난 2월 수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은행과 중기 측에서 추가 자료를 제출했다는 이유로 연기했다.

이후 키코 민사 항소심 선고일 직후에 발표하기로 했으나 이 과정에서 담당인 박성재 검사가 사직하고 법무법인 민으로 옮기면서 또 한 차례 미뤄졌다.

검찰은 신규 검사가 다시 사건 기록을 검토해야 해 마무리에 시간이 걸린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검찰이 은행과 중기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이 사안을 다음 수뇌부로 떠넘기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