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는 24일 희비가 엇갈렸다. 주식워런트증권(ELW) 수사 결과 검찰로부터 사법처리된 현대증권과 우리투자증권 삼성증권 등은 고객들의 항의전화에 시달리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사법처리에 포함되지 않은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은 한숨 돌리는 모습이었다.

대표이사가 고발된 증권사의 본점과 일선 영업점에는 고객의 항의가 쇄도했다. 지난해 초부터 ELW 투자를 해왔다는 강모씨는 "스캘퍼가 개미들의 돈을 빨아먹는 것을 증권사가 막기는커녕 도왔다는 것에 배신감을 느낀다"며 "ELW는 물론 다른 주식거래도 해당 증권사를 이용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해당 증권사들도 곤혹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ELW 담당 부서 분위기가 어수선해 사안이 어느 정도인지 물어보지 못할 정도"라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검찰이 대표까지 기소한 것에 대해 직원들 대부분이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라고 전했다.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동양종금증권 등 사법처리 대상에서 벗어난 증권사들은 '표정관리'에 부심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한국거래소가 집계하는 주식매매 중계 실적에 ELW가 포함되다 보니 스캘퍼를 영입하지 않은 증권사들은 시장점유율 산정 때 불이익을 겪었다"며 "어렵더라도 정도를 지킨 보람이 있는 것 같다"며 웃었다.

한국투자증권 리테일 담당자는 "금융회사가 고객의 이익을 희생하며 스캘퍼와 손잡는 것은 안 될 일이라고 판단했다"며 "검찰 조사가 아니더라도 애초 스캘퍼에 특혜를 제공할 계획이 없었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ELW를 비롯한 매매중개보다는 금융상품을 통한 고객 자산관리에 영업력을 집중해왔다"며 "그러다보니 스캘퍼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노경목/임근호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