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증시는 대외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코스피지수도 그리스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와 업종별 기업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 등이 맞물려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도 향후 강한 반등보다는 점진적인 상승세를 예상한다. 이런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는 주식 비중을 탄력적으로 가져가는 자산배분형 상품이 대안으로 떠오른다.

◆유연한 자산배분으로 변동성 대응

일반 주식형펀드는 주식시황과 상관없이 90% 수준의 주식 편입 비율을 가져간다. 이에 비해 자산배분형 상품은 경제환경이나 주식시장이 좋을 때는 주식 편입 비율을 90% 이상까지 확대하고 반대로 경제환경이나 주식시장이 나쁠 때는 주식 편입 비율을 낮춰 운용한다.

대세 상승기에는 평균 50~60% 이상의 주식 편입 비율을 유지하면서 지수 상승폭 수준의 수익을 추구하고 대세 하락기에는 시장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주식 편입 비율을 조절해 수익률을 방어한다. 이 같은 위험관리를 통해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수익률과 위험 동시 관리

자산배분형 상품은 투자지역에 따라 국내 및 해외 자산배분형으로 나뉜다. 국내 자산배분형 상품에는 랩상품과 자산배분형 펀드가 있다. 해외 투자상품으로는 글로벌자산배분형 펀드가 일반적이다.

국내 자산배분형 펀드는 코스피지수의 변동성을 활용해 분할매수 방식으로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동시에 지수선물 매도나 주식 편입 비율 조절을 통해 수익률과 위험을 관리한다.

해외 자산배분형 펀드는 다양한 국가와 종목에 광범위하게 분산투자하고,시장 상황을 고려해 주식 및 채권과 유동성(단기 채권)에 모두 투자한다.

◆보수적 투자자에게 적합

자산배분형 상품은 적극적인 수익보다는 안정과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기 때문에 원금 손실 위험을 피하려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특히 이 상품은 시장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수익률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운용 능력이 그만큼 중요하다.

양은희 한국투자증권 WM컨설팅부 차장은 "자산배분형 상품도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운용 능력에 따라 성과 차이가 크다"며 "과거 운용 성과와 변동성,그리고 운용 프로세스 등을 잘 살펴본 뒤 성과가 검증된 펀드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