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MS, 美 PBS 바이오테크 세포배양기 국내 독점 공급 계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녹십자는 자회사 녹십자MS가 미국 PBS 바이오테크와 '디스포저블 바이오리액터(세포배양기)'의 국내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디스포저블 바이오리액터'는 기존 스테인레스 배양기와는 달리 사용 후 바로 폐기할 수 있는 1회용 백(bag)에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생산 설비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설비는 에어휠 형식의 배양액 교반 장치를 이용, 세포에 산소를 원활하게 전달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성해준다고 전했다.
녹십자 측은 또 "'디스포저블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하면 거대 규모 설비를 마련해야 하고 생산이 까다로운 바이오의약품 설비 및 생산비용을 최소 약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1개 기기에서 여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규모를 쉽게 늘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녹십자 측은 "배양기 세척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교차 오염을 방지해 보다 안전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PBS 바이오테크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상업화까지 다양한 단계의 바이오리액터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이라며 "미 국방부로부터 바이오테러 대비 관련 프로젝트 연구 자금을 지원받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
'디스포저블 바이오리액터'는 기존 스테인레스 배양기와는 달리 사용 후 바로 폐기할 수 있는 1회용 백(bag)에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생산 설비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설비는 에어휠 형식의 배양액 교반 장치를 이용, 세포에 산소를 원활하게 전달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성해준다고 전했다.
녹십자 측은 또 "'디스포저블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하면 거대 규모 설비를 마련해야 하고 생산이 까다로운 바이오의약품 설비 및 생산비용을 최소 약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1개 기기에서 여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규모를 쉽게 늘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녹십자 측은 "배양기 세척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교차 오염을 방지해 보다 안전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PBS 바이오테크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상업화까지 다양한 단계의 바이오리액터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이라며 "미 국방부로부터 바이오테러 대비 관련 프로젝트 연구 자금을 지원받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