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도엽 장관 "집값 올리려는 수직증축 리모델링 반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권도엽 국토부 장관 간담회
양도세 중과 폐지안 마련키로…보금자리 공급 15만가구로 축소
양도세 중과 폐지안 마련키로…보금자리 공급 15만가구로 축소
◆다주택자 규제완화책 본격 마련
이번에는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거론하고 '여러 가구의 지방주택 보유자'로 대상을 적시했다. 이에 따라 2012년 종료되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를 2013년 이후로 재연장하는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간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실마리는 '지방 다주택자'다. 양도세 중과를 폐지하더라도 부득이하게 지방에 집을 갖고 있는 비(非) 투기목적에 국한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지방 주택보유자들의 수도권 주택 투자를 허용하면수도권 부동산시장을 활성화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주택자는 △양도세 중과(2주택자 양도차익의 50%,3주택자 이상 60% 과세) △종합부동산세 규제 강화(1주택자는 9억원 초과 과세,다주택자는 6억원 초과 과세) △취득세율 2.2~2.7%(1주택자는 1.1~1.75%) △주택임대수익 과세(1주택자 월세 수입은 비과세) 등 규제를 받고 있다.
◆수직증축 리모델링 힘들 듯
권 장관은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 여부와 관련 "심하게 낡았으면허용하되,자산증식을 위한 리모델링은 사실상 반대한다"는 뜻을 비췄다. 리모델링 가능 연한인 '준공 15년 이후' 아파트라도 구조안전에 문제가 없으면 리모델링을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미다.
그러나 수직증축 리모델링 요구와 결부시키면 '수직증축 · 가구 수 증가→일반분양→조합원 자금부담 감소→자산가치 증식'의 리모델링 추진도 지양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올 수 있다. 차정윤 리모델링협회 사무처장은 "경기 분당,일산 등 5개 1기 신도시 아파트 200만가구가 노후화하고 있는데 자산증식을 위해 리모델링을 원하는 것으로 비쳐져 유감"이라고 말했다.
◆올해 보금자리 공급 축소
당초 21만가구로 잡았던 올해 보금자리주택 공급 목표는 15만가구로 낮춰 잡았다. 권 장관은 "현장에서 보금자리주택 공급에 대한 심리적 영향이 크다"며 "150만가구 공급이란 전체 목표는 유지하되,LH(한국토지주택공사) 경영사정 등을 고려해 올해 공급 목표를 15만가구로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보금자리주택은 전용 59㎡ 이하 소형 주택으로만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뉴타운사업의 기반시설 기부채납 등 조합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내달 중 관련법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기로 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