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학교,병원,쇼핑센터 등 내진성능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앞으로 서울 시내 학교와 대형 쇼핑센터,병원,극장 등은 내진 성능을 반드시 갖춰야 한다.
서울시는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지진 발생시 대형 피해의 우려가 있는 도시기반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담은 ‘지진에 강한 서울 만들기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이미 건축된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내진 성능이 미흡하면 보강 공사를 하도록 10∼15년의 기간을 주고,그 기간 안에 공사를 이행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현재 시내 병원 중 내진 성능을 확보한 건물은 전체의 63%이며,학교는 23%에 불과하다.
다중이용시설을 포함한 시내 모든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 성능을 보강하면 지방세를 감면해 주거나 용적률을 10% 높여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서울시는 기존에 내진 설계 대상이 아니었던 2층 이하 건축물도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도록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할 것을 지난 3월 중앙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지하철 1∼4호선의 내진 성능 평가를 당초 목표 시점보다 1년 앞당긴 내년까지 완료하고 2014년까지 보강 공사를 끝낼 계획이다.5∼9호선은 모든 구간이 내진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교량 24곳과 고가차도 등 도로시설 지상 구조물도 현재 68.2%인 내진 성능 확보 구조물 비율을 2014년까지 85%로 끌어올릴 방침이다.터널,지하차도 등의 지중 구조물은 국토해양부의 내진 성능 기준이 마련되는 대로 연차별 보강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서울시는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지진 발생시 대형 피해의 우려가 있는 도시기반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담은 ‘지진에 강한 서울 만들기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이미 건축된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내진 성능이 미흡하면 보강 공사를 하도록 10∼15년의 기간을 주고,그 기간 안에 공사를 이행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현재 시내 병원 중 내진 성능을 확보한 건물은 전체의 63%이며,학교는 23%에 불과하다.
다중이용시설을 포함한 시내 모든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 성능을 보강하면 지방세를 감면해 주거나 용적률을 10% 높여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서울시는 기존에 내진 설계 대상이 아니었던 2층 이하 건축물도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도록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할 것을 지난 3월 중앙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지하철 1∼4호선의 내진 성능 평가를 당초 목표 시점보다 1년 앞당긴 내년까지 완료하고 2014년까지 보강 공사를 끝낼 계획이다.5∼9호선은 모든 구간이 내진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교량 24곳과 고가차도 등 도로시설 지상 구조물도 현재 68.2%인 내진 성능 확보 구조물 비율을 2014년까지 85%로 끌어올릴 방침이다.터널,지하차도 등의 지중 구조물은 국토해양부의 내진 성능 기준이 마련되는 대로 연차별 보강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