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30]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했던 제2차 양적완화 정책(QE2)이 30일(현지시간)로 끝난다.2008년 말의 제1차 양적완화에 이어 지난해 11월 시작된 후속 조치 덕분에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증시가 유동성 랠리를 펼치는 등 금융시장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은 모습이다.하지만 좀처럼 떨어질 줄 모르는 실업률과 침체된 부동산 시장 등 미국의 실물경기는 여전히 개선 조짐을 보이지 못하고 있고,대량으로 살포된 달러로 인플레 우려가 커지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는 비판도 거세다.QE3 가능성을 배제한 벤 버냉키 FRB 의장의 발언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선 추가 부양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글로벌 증시 유동성 랠리 이끌어

1일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이날 49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사들이는 것을 끝으로 QE2 프로그램을 마무리한다.FRB는 경기 부양을 위해 작년 11월부터 총 6000억달러 어치의 국채를 매입하면서 시중에 돈을 풀었다.이에 앞서 FRB는 2008년 말부터 작년 3월까지 1조7300억달러 규모의 모기지담보부증권(MBS)을 사들이는 제1차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했다.두 차례의 ‘자금 살포’로 FRB의 대차대조표에서 자산총액은 1조달러 미만에서 3조달러까지 급격하게 불어났다.

‘돈의 힘’은 증시에서 즉각적으로 효과를 발휘했다.미 뉴욕증시의 다우지수는 지난해 8월 버냉키 의장이 2차 양적완화 정책을 시사한 이후 올해 5월 고점까지 20% 이상 상승했다.코스피지수도 2009년(49.65%)과 지난해(21.88%) 큰 폭으로 뛰어오르는 등 주요 이머징 증시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장은 “FRB의 양적완화 정책을 놓고 경제학자들과 정책 결정자들의 의견이 분분했지만 결과적으로 두 차례의 QE는 실제로 효과를 발휘했다”고 평가했다.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하지 않았다면 미국 경제는 1990년대 일본이 극심한 디플레이션을 겪었던 것과 같은 위기에 빠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양적완화 정책의 결과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서 미국의 수출이 활기를 되찾은 것도 성과물로 꼽힌다.

◆실물경제 회복은 여전히 미흡

하지만 양적완화 정책의 부작용도 상당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버냉키 의장이 최근 “미국의 경기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실토했듯이 실물 경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의견이 많다.미 금융당국은 최근의 경기 둔화세가 ‘소프트패치’(경기회복후 일시적 둔화)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경기가 다시 침체국면에 접어드는 ‘더블딥’의 가능성도 크다는 것이다.

특히 시중에 달러를 대량으로 푼 영향으로 인플레라는 부작용이 경기회복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RDQ이코노믹스의 존 라이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AFP와 인터뷰에서 “2차 양적완화 정책은 끔찍한 실수”라며 “인플레 압력을 가중시키고 국민들을 빚더미에 올려놓아 오히려 경제성장을 가로막았다”고 비난했다.AFP는 FRB가 미 국채를 대량으로 사들이며 자금을 푼 이유가 장기금리를 낮춰 기업의 투자와 고용을 촉진시키려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효과가 미미했다고 지적했다.귀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도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고 AFP는 언급했다.피터 모리치 메릴랜드대 교수는 “미국의 대기업들이 상당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확장적 통화정책은 투자나 고용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AFP는 “FRB가 3차 양적완화 정책의 가능성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지만 경기가 여전히 부진해 추가 부양정책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