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기 포스텍 총장, 새학기엔 평교수로 강단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학도만으론 아이폰 안 나와…학문간 융·복합이 이공계 살 길"
인문학 소양 함께가 르쳐
전체 아우르는 능력 배양
이공계 창업 교육도 늘려야
인문학 소양 함께가 르쳐
전체 아우르는 능력 배양
이공계 창업 교육도 늘려야
백성기 포스텍 총장(62)은 "이공계 교육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이공계 위기가 찾아왔다"고 진단했다. 사회와 학생이 요구하는 바가 끊임없이 변했지만 대학은 거기에 발맞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백 총장은 "입시철에 보면 학생들의 이공계 선호가 의대에 밀리는 게 현실"이라며 "대학이 질적으로 달라지지 않고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4년간 포스텍을 이끌어온 백 총장은 오는 9월 평교수로 돌아간다. 백 총장 임기 동안 포스텍은 세계 일류대학의 반열에 올라섰다. 그가 취임한 2007년에는 영국 더 타임스 세계대학평가에서 233위에 머물렀으나 올해는 28위에 올랐다. 성공한 이공계 총장인 백 총장은 한국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공계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두 시간 넘게 열변했다.
◆"학제 간 융 · 복합 강화 필요"
백 총장은 "이공계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더 많은 학제 간 융 · 복합 과정 개설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회가 복합적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인재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자기 전공 하나만 공부하는 것보다는 여러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어야 시장이 원하는 가치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 총장은 아이폰을 예로 들었다. 그는 "아이폰은 공학기술자 혼자서는 만들 수 없다"며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과 협력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은 그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어야만 할 수 있다.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는 각자 자기 분야를 서로에게 가르치다 끝나 버린다.
백 총장은 복합적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물리 수학 영어 등 기초 소양과목 교육 강화를 강조했다. 역사 경영 등 인문학적 지식도 빼놓을 수 없다. 포스텍은 실제로 백 총장 임기 동안 이런 방향으로 제도를 바꿨다. 기존 1년이던 기초 소양교육 기간을 2년으로 늘렸다. 교과과정에서 학생의 주전공이 아닌 다른 분야 학문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였다.
◆"기술경영 교육 강화해야"
백 총장은 "학생이 스스로 창업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도 이공계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산업화 시절에는 공대를 졸업하는 게 최고의 커리어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지금은 상당히 퇴색했다"며 "더 이상 학생들이 기업 연구소에서 평생을 보내기 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런 요구를 반영해 이공계에서도 창업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백 총장의 생각이다. 그는 "이공계에서도 연구원이 아닌 방향으로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며 "전공지식을 이용해 창업에 성공한다면 굳이 이공계를 기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도 이공계 노벨상 나올 것"
지금은 '이공계 위기'가 정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백 총장은 이공계의 미래에 낙관론을 펼쳤다. 그는 "지식산업사회가 도래하면서 시장에서 원천기술의 가치가 올라가고 있다"며 "지금은 위기를 맞고 있어도 이공계는 잠재력이 큰 분야"라고 설명했다.
백 총장은 한국 과학자의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전망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한국 과학자들이 인류 문명에 심대한 영향을 줄 만한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연구 결과가 나온 시점부터 30~40년이 지나야 노벨상 수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수상자가 없을 뿐이다. 그는 "단기간에는 어려워도 지금의 연구 결과가 인류 발전에 공헌을 했다는 게 증명되면 한국인 수상자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