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제로' 안전 일터 만들자] 전국 일터서 하루 6명 사망…産災 OECD '최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손실 年 17조…노사분규 피해의 17배
시화공단과 반월공단이 인접한 안산의 H병원은 손가락 봉합수술을 받으려는 산업재해 환자들로 북적거린다. 생산현장에서 작업 도중 손가락이 기계에 끼거나 잘리는 사고가 수시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손가락 절단으로 찾는 근로자들이 한 달 평균 50명에 달해 H병원은 '손가락 공장'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건설현장,조선소,자동차부품 공장,식당,택배용 오토바이,도시의 맨홀,냉동기기 설비 현장 등 전국 대부분의 일터가 안전시설과 안전의식 부족으로 산재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일터에서 근무 중 다친 근로자는 9만8645명이다. 이 중 2200명이 숨졌다. 하루 평균 260명이 부상하고 6명이 숨진 셈이다.
산재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5670만일로 노사분규에 따른 손실일수 51만일의 110배에 달한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7조3157억원.노사분규에 따른 손실액 1조원(최근 3년간 연평균 손실액)에 비해 17배 이상 많다. 대형 파업이 발생하면 국가 경제가 망할 것처럼 온 나라가 소란스럽지만 산업재해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
지난해 사고성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수)을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한국은 사망만인율이 9.7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최악이다. 미국 3.8명,일본 2.3명,독일 2.0명,영국 0.7명 등으로 한국은 영국의 14배다.
한국 경제는 고속성장의 신화를 만들어왔으나 산업재해는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수출상품 세계 시장 점유율 8위,무역 규모 9위,국내총생산(GDP) 규모 11위 등으로 선진국 문턱에 진입했다.
그럼에도 산재가 후진국형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안전 불감증 때문이다. 비용을 아낄 수 있다면 생명도 담보로 한다. 공기 단축이 비용으로 연결되는 건설현장에서는 특히 적정 공사기간을 생각하지 않고 공휴일과 야간에도 무리하게 공사를 밀어붙이는 바람에 대형 사고가 빈발한다.
산업재해는 근로자 개인은 물론 가족의 행복을 앗아가고 기업 생산성,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킨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도 경제 수준에 맞게 선진국형으로 도약할 때가 됐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
건설현장,조선소,자동차부품 공장,식당,택배용 오토바이,도시의 맨홀,냉동기기 설비 현장 등 전국 대부분의 일터가 안전시설과 안전의식 부족으로 산재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일터에서 근무 중 다친 근로자는 9만8645명이다. 이 중 2200명이 숨졌다. 하루 평균 260명이 부상하고 6명이 숨진 셈이다.
산재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5670만일로 노사분규에 따른 손실일수 51만일의 110배에 달한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7조3157억원.노사분규에 따른 손실액 1조원(최근 3년간 연평균 손실액)에 비해 17배 이상 많다. 대형 파업이 발생하면 국가 경제가 망할 것처럼 온 나라가 소란스럽지만 산업재해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
지난해 사고성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수)을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한국은 사망만인율이 9.7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최악이다. 미국 3.8명,일본 2.3명,독일 2.0명,영국 0.7명 등으로 한국은 영국의 14배다.
한국 경제는 고속성장의 신화를 만들어왔으나 산업재해는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수출상품 세계 시장 점유율 8위,무역 규모 9위,국내총생산(GDP) 규모 11위 등으로 선진국 문턱에 진입했다.
그럼에도 산재가 후진국형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안전 불감증 때문이다. 비용을 아낄 수 있다면 생명도 담보로 한다. 공기 단축이 비용으로 연결되는 건설현장에서는 특히 적정 공사기간을 생각하지 않고 공휴일과 야간에도 무리하게 공사를 밀어붙이는 바람에 대형 사고가 빈발한다.
산업재해는 근로자 개인은 물론 가족의 행복을 앗아가고 기업 생산성,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킨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도 경제 수준에 맞게 선진국형으로 도약할 때가 됐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