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은 하반기부터 대출 때 대기업 그룹 계열사를 우대해 주던 관행을 폐지키로 했다. 건설 조선 제약 화학섬유 등 개별 산업의 위험도를 분석해 업종별 대출 규모를 제한한다.

금융감독원과 은행연합회는 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업여신관행 개선을 위한 세미나'를 열고 은행의 기업대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은행들은 우선 기업 신용평가 항목에서 계열 관련 가점을 없애기로 했다. 그룹의 계열사 지원사실 등을 반영해 신용등급을 높여주던 관례도 폐지키로 했다. 다만 계열주(오너) 등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확약서를 제출한 경우에 한해 예외로 인정해 주기로 했다.

은행들은 또 신용위험 평가 때 계열사 지원 여부를 평가 항목에서 제외키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이 대출한 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할 때 해당 기업의 고유 위험만 고려하기로 했다"며 "앞으로는 대기업 그룹 계열사라는 이유만으로 구조조정 대상에서 제외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이와 함께 산업별 리스크를 감안해 산업등급을 매기기로 했다. 업종별 여신한도를 산정할 때 산업평가 결과를 엄격히 반영,위험 등급으로 분류된 업종에 대해선 경기 상승기에도 급격한 한도 증가를 억제키로 했다. 또 대출을 이미 받은 기업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지급보증 등 우발채무를 늘릴 경우 여신을 회수키로 했다. 국내 18개 은행들은 하반기 중 세부계획을 각 은행 실정에 맞게 만들어 시행키로 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