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이 짧았던 과거에는 노후가 그다지 부담스럽지 않았다. 하지만 의료기술 발달과 삶의 질 향상 등으로 수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행복한 노후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게 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1980년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대수명은 65.7세였으나 2009년에는 80.6세로 나타났다. 불과 30년 만에 15년이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기대수명 통계가 고령화의 정도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기대수명은 태어난 후부터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말한다. 이때 평균치 계산은 자살이나 교통사고 등으로 일찍 사망한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평균 생존 연수이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이 수치보다 더 빨리 사망할 수도,더 오래 살 수도 있다. 기대수명에 대한 해석은 노후 준비를 꼼꼼하게 완성해 가는 바탕이므로 제대로 해야 한다.

첫째,기대수명과 기대여명에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대수명은 0세인 사람이 앞으로 겪게 될 모든 사망위험을 감안해서 몇 살까지 살지를 나타낸다. 2009년 통계청 생명표를 기준으로 하면 기대수명이 80.6세인데 이는 2009년에 태어난 아이가 80.6세까지 산다는 의미다. 그러나 2009년 40세인 사람의 기대여명은 41.84년으로 현재 나이와 기대여명을 합하면 82세로 기대수명보다 길다. 50세는 82.6세,60세는 83.8세로 점점 길어진다. 이는 그 나이까지 사망위험을 피해 생존했으므로 그동안의 사망확률을 제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엄밀한 은퇴설계는 기대수명이 아닌 기대여명을 기준으로 하는 게 더 적합하다.

둘째,현재의 기대수명은 의료기술의 발전과 같은 변수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기대수명을 발표하지만 앞으로 기대수명이 얼마나 늘어날 것인가를 적극적으로 예측하지 않고 있다. 2000년 통계청은 기대수명이 '2010년 78.8세→2020년 80.7세→2030년 81.5세'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2005년엔 '2010년 79.6세→2020년 81.5세→2030년 83.1세'로 수정했다. 이처럼 바뀔 수밖에 없는 기대수명으로 노후를 설계해서는 곤란하다.

셋째,남성과 여성의 기대수명은 다르다. 출생자 기준으로 전체 평균수명은 80.6세지만 남성은 77세,여성은 83.8세로 여자가 남자보다 6.8년 더 산다.

그래서 노후준비를 할 때 여성은 10년을 더 생존하는 것으로 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