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철이다. 빗길은 빗물과 먼지 기름기 등으로 맑은 날 도로보다 매우 미끄럽다. 따라서 운전할 때 철판,맨홀 뚜껑 표면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빗길 운전 교통사고 치사율은 맑은 날의 1.6배에 달한다. 시계가 불량해 차선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고 수막현상으로 차량이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젖은 노면에서는 주행속도가 동일하더라고 미끄러운 탓에 차량과 교통시설물의 충격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그 중 후방 추돌사고와 차선 변경 중의 측면 접촉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다. 미끄러짐 현상으로 핸들 제동이 어렵고 제동거리도 길어지는 탓이다. 도로별 제한속도와 자동차 상태를 명확히 알고 안전한 속도로 주행하는 게 최고의 방어운전 방법이다.

젖은 노면에서는 마른 노면에서보다 제동거리가 약 40~50% 더 길어지기 때문에 운전할 때 평소보다 2배 이상의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급정거에 대비해 20~50% 감속해야 앞차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주택가 이면도로,횡단보도 부근에서는 시속 30㎞로 서행해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기상 정보는 수시로 체크해야 한다.

비가 오면 꼭 전조등을 켜고 운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사고 예방과 함께 상대방에게 내 차량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비가 올 때는 1차선을 피하는 것이 좋다. 반대 차선 차량이 어느 순간 미끄러져 중앙선을 침범할 수도 있어서다.

한적한 국도에서 물웅덩이를 발견하면 즉시 속도를 낮추고 한 번에 통과해야 한다. 빠르게 통과하면 수막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통과한 직후에는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이 물에 젖을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을 가볍게 2~3회 밟아 그 마찰열로 물기를 말려야 한다. 워셔액을 뿌린 후 와이퍼를 작동해보고 유리면이 깨끗하게 닦이지 않는다면 즉시 교체한다.

교통사고나 차량 침수 등 유사시를 대비해 휴대폰에 긴급출동 연락처를 저장해두는 것도 필요하다.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자동차보험과 운전자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빗길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