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하이닉스 인수 얻는 게 더 많을 수도…"-KTB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TB투자증권은 11일 SK텔레콤의 하이닉스 인수전 참여와 관련,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더 많을 수도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송재경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2000년 이후 통신업종의 유가증권시장 내 시가총액 비중은 30%에서 2%까지 쪼그라들었다"며 "만약 SK텔레콤이 미국의 통신사인 스프린트 넥스텔 인수를 성사키셨다면 실패했을 것"고 지적했다.
통신 시장이 가입자 포화와 마케팅 경쟁 심화, 정부의 요금인하 압력 등으로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하이닉스 인수는 최선은 아니더라도 차선은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송 연구원은 "SK텔레콤은 매년 2조원 내외의 잉여현금흐름이 발생한다. 단말매출채권 유동화로 총 3조원의 순운전자본이 감소한다"며 "하이닉스 지분 약 20%를 인수할 경우 일시적으로 차입금이 늘어나긴 하겠지만 배당을 유지하면서 감당할 수준은 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인수 대상인 하이닉스가 매력적이란 분석이다. 그는 "반도체 불황기에 진입한 상황에서도 설비투자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영업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기업으로 바뀌었다"며 "평균 설비투자 3조원을 능가하는 수준의 이익 창출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추가적인 현금 투입은 필요 없다"고 했다.
송 연구원은 "하이닉스의 경쟁사인 대만 업체들은 불황기인 올해에도 적자가 나고 있지만 하이닉스는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며 "반도체 업종이 더 이상 치킨게임 만은 아닐수 있다"고 했다.
그는 다만 "하이닉스 인수 뒤 SK텔레콤 사람들로 경영진이 대거 교체된다면 반도체 전문 지도부의 공백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며 "반도체 업황의 특성상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 결정이 필수인데, SK그룹의 문화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것은 리스크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송재경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2000년 이후 통신업종의 유가증권시장 내 시가총액 비중은 30%에서 2%까지 쪼그라들었다"며 "만약 SK텔레콤이 미국의 통신사인 스프린트 넥스텔 인수를 성사키셨다면 실패했을 것"고 지적했다.
통신 시장이 가입자 포화와 마케팅 경쟁 심화, 정부의 요금인하 압력 등으로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하이닉스 인수는 최선은 아니더라도 차선은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송 연구원은 "SK텔레콤은 매년 2조원 내외의 잉여현금흐름이 발생한다. 단말매출채권 유동화로 총 3조원의 순운전자본이 감소한다"며 "하이닉스 지분 약 20%를 인수할 경우 일시적으로 차입금이 늘어나긴 하겠지만 배당을 유지하면서 감당할 수준은 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인수 대상인 하이닉스가 매력적이란 분석이다. 그는 "반도체 불황기에 진입한 상황에서도 설비투자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영업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기업으로 바뀌었다"며 "평균 설비투자 3조원을 능가하는 수준의 이익 창출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추가적인 현금 투입은 필요 없다"고 했다.
송 연구원은 "하이닉스의 경쟁사인 대만 업체들은 불황기인 올해에도 적자가 나고 있지만 하이닉스는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며 "반도체 업종이 더 이상 치킨게임 만은 아닐수 있다"고 했다.
그는 다만 "하이닉스 인수 뒤 SK텔레콤 사람들로 경영진이 대거 교체된다면 반도체 전문 지도부의 공백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며 "반도체 업황의 특성상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 결정이 필수인데, SK그룹의 문화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것은 리스크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