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 배임으로 얼룩진 코스닥시장에서 불공정거래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1년 상반기 중 금감원이 불공정거래 사건을 조사해 처리한 건수는 98건으로 전년동기 92건보다 6건(6.5%) 늘었다.

조사결과 중대한 위법사항이 발견돼 증선위 의결을 통해 검찰에 이첩(고발 또는 통보)한 사건은 72건(전체의 73.5%)으로 전년동기 71건과 유사했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발생한 사건은 총 14건으로 전년동기 19건보다 감소한 반면 코스닥시장에서 발생한 사건은 총 54건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하고 전년동기 49건보다 6건이 늘어나는 등 발생건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였다. 파생상품시장도 4건으로 전년보다 1건이 늘었다.

검찰에 이첩한 72건을 위반유형별로 보면 부정거래 행위가 총 17건으로 전년동기(4건) 대비 증가하는 등 지난해 하반기(17건)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부정거래에서는 기업인수와 관련해 대주주 등 경영진이 허위공시 등을 이용해 주가를 상승시킨 후 보유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취득한 유형이 12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일반투자자가 허위풍문을 유포해 주가를 상승시킨 후 보유주식을 매각해 차익을 취득하는 유형과 유사 투자자문업자가 회원들에게 매수추천 후 보유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취득한 유형이 각각 3건과 2건으로 집계됐다.

시세조종 행위와 미공개정보이용 행위는 24건과 20건으로 각각 전년동기의 31건과 22건에 비해 다소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본시장에 부정거래 등 각종 불공정거래행위가 계속 증가되고 불공정거래 방식도 더욱 지능화되고 있어 일반투자자들에게 보다 신중한 투자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최대주주가 변경된 이후 검증되지 않은 풍문이 유포되거나 주가가 급등하는 종목 또는 특별한 이유 없이 상한가 후 다음날 다시 상한가가 형성되는 등 주가가 급변하는 종목 등에 대한 투자시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자본시장의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불공정거래를 조사해 위법사실 발견시 검찰고발 등 엄정한 조치를 할 방침이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