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청년층 채용 2.5% 불과…정원의 3% 권고기준 크게 미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공기관과 공기업들의 청년층 채용인원이 권고기준에 크게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12일 발표한 지난해 공공기관 267곳(공기업,준정부기관,30명 이상 기타 공공기관 등)의 채용실태에 따르면 모두 6249명의 청년층을 채용해 정원(24만7450명) 대비 채용률이 2.5%로 드러났다. 정원의 3% 이상을 청년층(15~29세)으로 채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한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의 권고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이다.
지방 공기업 127곳도 청년층 617명만을 채용해 정원(4만1784명) 대비 청년층 채용률은 1.5%에 불과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들 기관의 경영평가에 청년 채용실적이 반영되도록 관계부처에 적극 요구할 방침이다.
지난해 공공기관과 지방 공기업 등 394곳의 청년층 채용인원(정원 내 인원,무기 계약직,1년 이상 기간제)은 1만3702명으로 전년(1만3061명)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
고용노동부가 12일 발표한 지난해 공공기관 267곳(공기업,준정부기관,30명 이상 기타 공공기관 등)의 채용실태에 따르면 모두 6249명의 청년층을 채용해 정원(24만7450명) 대비 채용률이 2.5%로 드러났다. 정원의 3% 이상을 청년층(15~29세)으로 채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한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의 권고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이다.
지방 공기업 127곳도 청년층 617명만을 채용해 정원(4만1784명) 대비 청년층 채용률은 1.5%에 불과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들 기관의 경영평가에 청년 채용실적이 반영되도록 관계부처에 적극 요구할 방침이다.
지난해 공공기관과 지방 공기업 등 394곳의 청년층 채용인원(정원 내 인원,무기 계약직,1년 이상 기간제)은 1만3702명으로 전년(1만3061명)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