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친환경경영대상] 부림제지㈜, 우유팩을 재생 화장지로…자원ㆍ외화 절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림제지(회장 윤명식 · 사진)는 1985년 우유팩을 재생용지로 만드는 재생처리 공장을 세웠다. 이를 통해 국내 제지업계 최초로 폐우유팩과 종이컵을 화장지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회사는 버려지는 종이 쓰레기를 재활용해 환경오염을 줄이고,펄프 수입을 줄였다. 자원 및 외화를 절약하는 친환경을 실천하는 셈이다.
윤명식 부림제지 회장은 "당시 초등학교 우유 급식 이후 우유팩들이 버려져 쌓여 있는 것을 보고 '식품 포장에 쓰였던 종이인 만큼 화장지에 사용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우유팩 안팎을 싸고 있는 비닐막을 톱니바퀴를 이용해 벗겨내는 기술을 개발한 이후 재생용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의 대표 제품인 재활용 화장지 '코주부'는 섬유질이 길어 질기고 먼지가 나지 않는다.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형광물질이나 표백제가 전혀 첨가돼 있지 않은 게 특징이다.
부림제지는 1992년에 재활용 화장지 부문 '환경마크' 인증을 업계 최초로 받았다. 1994년에는 국내 최초로 재생화장지로 전철표를 개발해 특허 출원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화장지 부문 품질보증 '그린Q마크'를 국내 업체 중 처음으로 획득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2000년대 초반 우유팩 수거율이 떨어진 데다 재생화장지의 낮은 판매가격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꾸준한 공정 개선과 원가 절감 노력을 통해 우유팩 수거율을 최근 3년간 매년 약 25%씩 높이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전국에서 수거되는 폐우유팩의 절반 이상을 이 회사가 재활용하고 있다.
부림제지는 경기도 이천에 부지를 마련해 작년 8월 약 9900㎡ 규모의 제2공장을 세웠다. 화장지 생산라인을 자동화한 공장이다. 자원 재활용을 위해 종이컵 및 우유팩 수거도 늘릴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새마을운동본부와의 업무 협조를 통해 폐우유팩으로 만든 친환경 화장지를 전국 새마을 회원과 사회단체를 통해 교환 및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2015년까지 우유팩 수집을 연간 6000t까지 늘리고 약 80억원에 이르는 화장지 매출을 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윤명식 부림제지 회장은 "당시 초등학교 우유 급식 이후 우유팩들이 버려져 쌓여 있는 것을 보고 '식품 포장에 쓰였던 종이인 만큼 화장지에 사용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우유팩 안팎을 싸고 있는 비닐막을 톱니바퀴를 이용해 벗겨내는 기술을 개발한 이후 재생용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의 대표 제품인 재활용 화장지 '코주부'는 섬유질이 길어 질기고 먼지가 나지 않는다.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형광물질이나 표백제가 전혀 첨가돼 있지 않은 게 특징이다.
부림제지는 1992년에 재활용 화장지 부문 '환경마크' 인증을 업계 최초로 받았다. 1994년에는 국내 최초로 재생화장지로 전철표를 개발해 특허 출원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화장지 부문 품질보증 '그린Q마크'를 국내 업체 중 처음으로 획득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2000년대 초반 우유팩 수거율이 떨어진 데다 재생화장지의 낮은 판매가격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꾸준한 공정 개선과 원가 절감 노력을 통해 우유팩 수거율을 최근 3년간 매년 약 25%씩 높이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전국에서 수거되는 폐우유팩의 절반 이상을 이 회사가 재활용하고 있다.
부림제지는 경기도 이천에 부지를 마련해 작년 8월 약 9900㎡ 규모의 제2공장을 세웠다. 화장지 생산라인을 자동화한 공장이다. 자원 재활용을 위해 종이컵 및 우유팩 수거도 늘릴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새마을운동본부와의 업무 협조를 통해 폐우유팩으로 만든 친환경 화장지를 전국 새마을 회원과 사회단체를 통해 교환 및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2015년까지 우유팩 수집을 연간 6000t까지 늘리고 약 80억원에 이르는 화장지 매출을 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