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경제5단체가 중소기업 적합 업종에 대한 대기업의 진출을 자제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감세와 노조전임자 임금 지급 문제 등 다른 현안에 대해선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와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 회장 등 경제5단체장은 15일 국회 한나라당 대표실에서 회동을 갖고 경제 현안을 논의했다.

홍 대표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넘기는 과정에서 정부와 여당은 대기업 프렌들리 정책을 써왔다"며 "이제 경제 성장과 수출의 성과가 중소기업,자영업자,서민에게 돌아갈 시점이다. 대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단체장들에게 "중기 업종에 대한 대기업의 진입을 자율적으로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고,경제단체장들은 "대기업이 자제하도록 노력할 것이고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홍 대표는 서민층 자녀에 대한 장학금 지원 확대를 경제5단체에 요청했다. 사공일 무역협회 회장은 "대학 구조조정이 선행되고 이에 따른 등록금 인하가 필요하다"며 "전문대,공업계 고교 졸업자에 대한 기업의 취업우선 제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홍 대표는 상급 노동단체 파견 전임자에 대한 기업의 임금 지급 문제에 대해 "경제단체가 대승적 차원에서 지급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희범 경영자총협회 회장은 "노조가 전임자 임금 제한과 복수 노조 정착에 협조한다는 전제조건을 잘 지키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나타냈고,다른 경제단체장들도 "기다려 달라.검토해보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경제5단체장들은 기업인과 경제단체장에 대한 '국회 소환'을 자제하고 한진중공업 등 개별 노사문제에 정치권이 개입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이에 대해 "국회에서 일률적으로 컨트롤하기 어렵다. 시스템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답했다.

감세와 관련해선 한나라당과 경제단체장 간에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감세 정책 기조가 유지되기를 바란다. 법인세 인하는 세계적인 추세"라며 "우리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아야 한다. 법인세 인하를 계속해 기업 경쟁력이 떨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주문했다.

유 최고위원은 "이미 법인세 감세 철회라는 당의 입장을 정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번복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법인세가 이미 많이 감액된 상황이라 추가적으로 감세는 힘들다고 밝혔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