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펀드 `선방', 인덱스펀드 `부진'
국외선 브라질펀드 가장 저조

미국 고용시장 악화와 중국 물가상승률 급등, 이탈리아 재정위기 확산 등의 악재로 3주째 상승세를 보이던 국내 펀드의 수익률이 하락 반전했다.

1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5일 기준으로 국내 일반주식펀드는 한 주간 2.07% 하락했다.

하지만 이번 주 코스피 수익률(-2.32%)보다는 0.25%포인트 높았다.

대형주 투자비중이 높은 펀드가 약세를 보였다.

하지만 중소형주 펀드는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의약품, 기계, 서비스업종의 상승세로 관련 펀드 수익률이 높았다.

유형별 주간수익률은 중소형주식펀드가 -0.27%로 가장 선방했다.

배당주식펀드는 2.12% 하락했고,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코스피200인덱스펀드는 대형주들의 급락 탓에 -2.80%로 부진했다.

순자산액 100억원,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 주식펀드 678개 중 9개를 제외한 모든 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 중 코스피 수익률을 웃도는 펀드는 356개였다.

중소형지수와 코스닥 수익률의 호조로 중소형펀드와 코스닥 상장지수펀드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실적 전망 악화로 약세를 보인 반도체 상장지수펀드와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가 하위권이었다.

펀드별로는 '우리SK그룹우량주플러스1(주식)A1' 펀드가 주간수익률 1.56%로 1위였다.

'삼성KODEX반도체상장지수(주식)'는 반도체 업종 급락으로 -6.79%의 수익률을 기록해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해외 주식펀드도 유로존 재정위기의 여파로 3주 만에 하락했다.

이탈리아로 재정 위기 우려가 확산되며 세계 증시가 약세를 보여 해외주식형 펀드도 대부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주식펀드는 한 주간 1.87%의 손실을 기록했다.

동남아주식, 기초소재섹터펀드 등만 플러스 수익률을 냈으며 대부분은 2% 내외로 하락했다.

한주간 MCSI 유럽주식은 4.12%, 유럽주식펀드는 2.43% 하락했다.

MCSI 북미주식과 북미주식펀드도 3.11%, 2.11% 내렸다.

브라질주식펀드는 수익률이 -3.78%로 해외주식펀드 중 가장 저조했다.

유럽발 채무위기에 대한 불안감과 자국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주식펀드는 -1.92%, 러시아주식펀드는 -0.33%, 일본주식펀드는 -1.35%의 수익률을 각각 기록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doub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