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기, 채무상환 능력 격차 커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국내 제조업체들의 채무 상환 능력이 전년보다 개선됐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외부감사 대상업체 중 제조업체 6778곳의 현금흐름보상비율이 67.8%로 전년도의 65.2%보다 2.6%포인트 상승했다고 21일 발표했다. 현금흐름보상비율은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현금으로 단기차입금과 이자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현금흐름보상비율이 2009년 89.8%에서 지난해 96.3%로 6.5%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34.7%에서 31.0%로 3.7%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현금흐름보상비율 차이는 55.1%포인트에서 65.3%포인트로 확대됐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한국은행은 지난해 외부감사 대상업체 중 제조업체 6778곳의 현금흐름보상비율이 67.8%로 전년도의 65.2%보다 2.6%포인트 상승했다고 21일 발표했다. 현금흐름보상비율은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현금으로 단기차입금과 이자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현금흐름보상비율이 2009년 89.8%에서 지난해 96.3%로 6.5%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34.7%에서 31.0%로 3.7%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현금흐름보상비율 차이는 55.1%포인트에서 65.3%포인트로 확대됐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