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논란' 김백일 장군 동상에 쇠사슬 감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친일 행적 논란에 휩싸인 고 김백일 장군의 동상에 차양막과 쇠사슬이 감겼다.
21일 경남 거제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 관계자들이 동상 철거를 주장하며 김 장군의 동상을 검은색 차양막으로 덮고 쇠사슬로 감았다.
거제지역 19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 단체는 이런 사실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측에 사전 통보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8월 15일까지 동상이 철거되지 않으면 강제철거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협의회 관계자는 "김백일 장군은 간도특설대라는 독립군을 때려잡던 부대의 창설 주역"이라며 "단순한 친일 부역자와는 차원이 다른 사람이 동상으로 서 있는 것은 말이 안 된다"라고 말했다.
김백일 장군 동상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회장 황덕호)가 흥남철수작전 당시 미군 아몬드 장군을 설득해 피란민을 함대에 승선할 수 있게 한 공을 기리기 위해 지난 5월 27일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 흥남철수작전 기념비 옆에 세웠다.
고 김백일 장군은 1950년 10월 1일 국군 최초로 38선(강릉∼주문진)을 돌파, 이 날이 국군의 날로 제정되는 계기를 만든 인물이다.
그러나 김 장군은 일제 식민지 시절에 항일 무장저항세력의 토벌부대에 복무한 사실 때문에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됐다.
이 때문에 거제시의회 의원 15명 전원이 '김백일 동상 철거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그의 동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돼왔다.
특히 최근에는 김 장군의 동상이 '경상남도 문화재 관리조례'가 규정하고 있는 '문화재 영향검토'를 거치지 않아 거제시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측에 동상 철거를 요청했다.
김 장군의 동상은 1983년 12월 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PX잔존시설'에서 반경 270여m 지점에 위치해 영향검토 기준인 300m 범위에 포함되는데도 거제시가 문화재 영향검토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거제시의 요청에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측은 법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거제시 관계자는 "기념사업회 측에서 동상을 자진철거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
21일 경남 거제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 관계자들이 동상 철거를 주장하며 김 장군의 동상을 검은색 차양막으로 덮고 쇠사슬로 감았다.
거제지역 19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 단체는 이런 사실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측에 사전 통보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8월 15일까지 동상이 철거되지 않으면 강제철거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협의회 관계자는 "김백일 장군은 간도특설대라는 독립군을 때려잡던 부대의 창설 주역"이라며 "단순한 친일 부역자와는 차원이 다른 사람이 동상으로 서 있는 것은 말이 안 된다"라고 말했다.
김백일 장군 동상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회장 황덕호)가 흥남철수작전 당시 미군 아몬드 장군을 설득해 피란민을 함대에 승선할 수 있게 한 공을 기리기 위해 지난 5월 27일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 흥남철수작전 기념비 옆에 세웠다.
고 김백일 장군은 1950년 10월 1일 국군 최초로 38선(강릉∼주문진)을 돌파, 이 날이 국군의 날로 제정되는 계기를 만든 인물이다.
그러나 김 장군은 일제 식민지 시절에 항일 무장저항세력의 토벌부대에 복무한 사실 때문에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됐다.
이 때문에 거제시의회 의원 15명 전원이 '김백일 동상 철거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그의 동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돼왔다.
특히 최근에는 김 장군의 동상이 '경상남도 문화재 관리조례'가 규정하고 있는 '문화재 영향검토'를 거치지 않아 거제시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측에 동상 철거를 요청했다.
김 장군의 동상은 1983년 12월 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PX잔존시설'에서 반경 270여m 지점에 위치해 영향검토 기준인 300m 범위에 포함되는데도 거제시가 문화재 영향검토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거제시의 요청에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측은 법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거제시 관계자는 "기념사업회 측에서 동상을 자진철거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