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부의 인사에 불만을 품고 군청에서 난동을 피우는 등 지방의원들의 '한심한' 행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뇌물, 도박, 권한남용, 불성실 등 의원들의 갖은 추태에 대해 자성론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남 화순군의회 조모 의장 등 군의원 3명은 지난 20일 오후 화순군청 사무실에서 간부 직원에게 욕설하고 의자를 집어던지는 등 10여분간 난동을 피웠다.

이 과정에서 이들이 집어던진 의자에 간부 직원이 맞아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불상사까지 일어났다.

이들의 난동은 의회사무과 소속 직원들에 대한 집행부의 인사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화순군 모의원은 지난 5월 술에 취해 당직 공무원을 폭행한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잃기도 했다.

의원들의 추태는 폭력만으로 그치지 않는다.

광주 북구의회 의원 2명은 회기 중인 지난 5일 한 의원 사무실에서 지인과 도박판을 벌이다 경찰에 적발돼 망신살이 뻗쳤다.

시장에게 뇌물을 받은 혐의 등으로 기소된 여수의 전·현직 지방의원 15명은 항소심에서 모두 벌금형과 집행유예 등을 선고받아 시 의회가 마비될 위기에 처했다.

한 순천시의원은 시정 잘못을 했다며 공무원들을 수차례 고발해 '권한 남용'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고발된 공무원들은 검찰조사에서 모두 무혐의처리됐다.

지방의원들이 회기 중 아예 출석조차 않거나 민원성 질의, 지역구 챙기기에 열을 올리는 모습은 이제 낯선 풍경도 아니다.

전남도의원들은 최근 19명의 예결위원수를 25명으로 6명 늘렸다.

또 현직 전남도의원은 도 출연기관에 딸을 가짜 경력증명을 이용해 입사시켰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광주의 한 기초의원은 "일부 의원들의 잘못으로 주민들을 위해 애쓰는 동료 의원들까지 싸잡아 비난받는다"며 "의원 스스로 철저한 자기반성과 절제된 행동이 절실하고 윤리강령을 강화하는 등 제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화순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cbebo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