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계열사 지원하라" 은행ㆍ대기업 '총력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국민銀, 카드연계 연10~12% 적금 출시
삼성·롯데카드, 그룹社 이용하면 할인혜택
삼성·롯데카드, 그룹社 이용하면 할인혜택
금융지주와 은행,대기업 등이 신용카드 자회사 지원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금융당국이 카드사 자체 영업에 대한 규제를 대폭 강화하면서 우회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카드사의 모회사들은 이에 대해 계열사 간 시너지 확대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하고 있다.
◆카드 쓰면 최고 연 12%까지
신한은행은 25일부터 '생활의 지혜 적금 JUMP'를 판매한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을 위해 10억원의 기금을 전달하고,이번 적금에 가입한 고객의 만기 이자 중 1000원을 기부하는 방식으로 10억원의 추가 모금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고객 모집을 위해 최고 연 12.0%의 금리를 내걸었다. 기본금리는 연 3.2%이지만 우대금리를 대폭 얹어주는 방식으로 최고 연 12%가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선 신한은행 거래실적에 따라 0.7%포인트가 더해진다. 또 신한카드의 'S-MORE 생활의 지혜 카드' 사용실적에 따라 최고 8.1%포인트를 가산한다. 신한은행은 8.1%포인트의 금리를 더 받으려면 한 달에 카드를 150만원 이상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적금은 1년간 월 30만원 이내만 가능하다.
국민은행도 최근 카드사를 지원하는 상품인 'KB 굿플랜적금'과 '굿플랜카드'를 내놨다. 직전달 카드 사용액 중 20%(최대 30만원)가 결제계좌에서 적금계좌로 자동이체되는 게 이 상품의 특징이다. 만기 때 연 4.0%의 적금 금리와 연 6.0%의 가산금리를 합해 최고 연 10%의 확정수익을 준다.
우리은행의 '매직7 적금' 역시 카드와 연계한 복합상품이다. 기본금리가 연 4.0%에 그치지만 전년 대비 우리카드를 연간 500만원 이상 더 쓰면 연 7%의 금리를 제공한다.
기업은행도 창립 50주년과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기념해 1조원 한도로 특별예금을 판매하는데 역시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클 경우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카드사 모기업들이 이처럼 자회사 지원에 나선 것은 금융 당국의 카드 규제 때문이다. 당국은 신규 카드발급 건수와 마케팅 비용을 제한하는 등 카드사의 영업 확대를 규제하고 있다. 때문에 카드사들은 점유율 하락 방지를 위해 모회사의 혜택을 늘리는 방안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대는 자동차,롯데는 백화점"
은행을 관계사로 두지 않은 전업계 카드사들도 모기업의 '후광 효과'를 적극 활용하고 나섰다. SK텔레콤이 지분 49%를 갖고 있는 하나SK카드는 지난달 말 통신 관련 신용카드인 '터치 T'를 출시했다. 통신요금 월 최고 1만3000원,단말기 수리비 최고 10만원 할인 등이 특징이다.
삼성카드도 30여개에 달하는 삼성그룹 계열사의 전국 가맹점에서 결제금액의 최대 5%를 적립해주는 'S클래스' 카드를 최근 내놨다. 이 포인트로 지정된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현대카드는 현대 · 기아차그룹 계열사답게 신차 구매 혜택을 강조하고 있다. 평소 'M카드' 포인트를 적립했다가 신차 구입 때 최고 200만원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롯데카드는 자사 고객들이 관계사인 롯데백화점에서 5% 할인 및 3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재길/김일규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