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국제유가가 급등해 한국의 단기 총공급 곡선이 이동했다고 가정하자. 이런 상황에서 아래에 제시된 각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은행은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되고 그 결과 물가 및 GDP 변화를 기술한 것 중 맞는 것은?

(ㄱ)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할 경우 (ㄴ) GDP 안정을 목표로 할 경우

(1) (ㄱ)의 달성을 위해서 한국은행은 통화 공급을 늘려야 한다.
(2) (ㄴ)의 달성을 위해서 한국은행은 통화 공급을 줄여야 한다.
(3) 한국은행이 (ㄱ)을 달성한다면 GDP는 더 감소할 것이다.
(4) 한국은행이 (ㄴ)을 달성한다면 물가는 더 하락할 것이다.
(5) 한국은행은 단기에 (ㄱ)과 (ㄴ)을 동시에 항상 달성할 수 있다.


해설

국제유가가 급등하면 단기 총공급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물가는 상승하고 GDP는 하락한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ㄱ)처럼 물가 안정을 목표로 세운다면 통화공급을 줄여 인플레이션을 막아야 한다. 하지만 통화공급을 줄이면 GDP는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반대로 한국은행이 (ㄴ)처럼 GDP 안정을 추구하려면 통화공급을 늘려야 한다. 이런 상태에선 물가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결국 물가와 GDP는 단기적으로는 서로 역의 관계가 있다는 점을 이해하면 된다.

(1)번과 (2)번,(4)번은 각각 반대로 설명했으므로 틀렸다. (5)번은 물가안정과 GDP 증가를 동시에 항상 잡을 수 있다고 했으므로 답이 아니다.


정답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