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25일 첫 거시정책 협의회를 열고 물가 안정과 대외 리스크 요인 점검 등 정책 공조에 나섰다.

임종룡 재정부 1차관과 이주열 한은 부총재는 이날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첫 거시정책 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지난달 15일 박재완 재정부 장관과 김중수 한은 총재가 상견례를 겸한 자리에서 양 기관 간 부기관장급 회의를 매달 개최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임 차관은 "정부와 한은은 그간의 협력을 한 단계 발전시켜 정부와 중앙은행이 각각 담당하는 거시정책의 적시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협의회를 열게 됐다"고 말했다. 이 부총재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부와 중앙은행 간 협조 체제를 강화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3월 발표한 거시건전성 운용체계 보고서를 보니 정부와 중앙은행 간 협조 관계가 '글로벌 스탠더드'라고 하더라"고 화답했다.

실제 미국은 재무부 장관을 위원장으로,연방준비제도이사회 연방예금보험공사 등 금융감독기구의 수장,민간 전문가 등 10인의 위원으로 구성한 금융안정감시위원회(FSOC)를 운영하고 있다. 영국에서도 잉글랜드은행 총재와 재무부 추천 위원 등이 참여하는 금융정책위원회(FPC)를 두고 있다.

정부와 한은이 각종 경제 현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함께 논의하기로 했지만 정책 주안점은 서로 조금씩 달랐다. 정부는 물가에 초점을 맞췄지만 한은은 대외 리스크 요인에 방점을 뒀다.

임 차관은 이와 관련,"정부로서는 가장 중점적으로 점검이 필요하고 적극적으로 정책 대응을 모색하는 분야가 물가"라며 "국제유가 날씨 등 공급 측 요인에서 출발했지만 최근 수요 측면의 상승 요인이 가세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이 부총재는 "글로벌 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거시정책 협의회의 역할이 크다"고 했다.

재정부는 이날 협의회에 '세계 주요국의 물가 동향과 구조적 요인 및 향후 전망'에 대한 자료를 제출했으며 한은은 '해외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