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앞으로 정치경력이 있는 사람은 감사위원으로 뽑지 않기로 했다. 현재 평균 반년 가까이 걸리는 감사처리 기간을 줄이기 위해 지원조직도 새로 만든다.

감사원은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저축은행 비리사건을 계기로 만든 자체 태스크포스(TF)에서 마련한 쇄신 방안을 25일 발표했다.

감사원은 최근 3년간 정당에 가입한 적이 있는 정치경력자는 감사위원으로 임명하지 않기로 했다. 정치권의 로비 역할을 하는 감사위원을 뽑지 않기 위해서다. 감사원은 전체 6명인 감사위원 중 3명은 외부에서 선발하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이해관계가 있는 감사건에 대해서는 감사위원 스스로가 심사를 거부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수정키로 했다.

아울러 현재 평균 5개월 이상 걸리는 감사 처리 기간을 줄이기 위해 감사품질관리관실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 조직은 실무 감사팀의 감사보고서 검토를 전담하며,회계 · 법률 등 전문분야에 대한 지원을 통해 빠른 감사처리를 유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난해 저축은행 감사의 경우 현장감사 후 결과 발표까지 1년 가까이 걸려 외부 세력이 개입할 수 있는 시간을 줬다는 비판을 받았다. 아울러 감사관은 업무 외에는 피감기관의 법적대리인을 비롯한 관계인을 아예 만날 수 없도록 하는 등 행동강령도 강화했다. 또 감사관과 감사원장 간의 직통 연락망도 만들어 부당한 압박을 받았을 때는 바로 신고할 수 있도록 했고,비리공직자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감찰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날 발표한 쇄신방안은 감사원 내부 조직 기강 확립에만 중점을 뒀을 뿐,감사원 견제조직 마련 등 근본적인 대책은 빠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양건 감사원장은 "저축은행 사태에 감사원이 연루된 데 대해 부끄럽고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이를 계기로 감사원 업무 전반에 대해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쇄신 방안을 적극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