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1000만弗 美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 수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GMㆍ포드ㆍ크라이슬러…차세대 고성능 전지 개발
LG화학은 미국 전기자동차 배터리 개발 컨소시엄인 USABC로부터 1000만달러(105억원) 규모의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6일 발표했다.
USABC는 전기차 배터리 개발을 위해 미국 에너지국(DOE)과 GM,포드,크라이슬러 등 자동차 3사가 구성한 컨소시엄이다. LG화학은 2013년까지 플러그인 전기차에 탑재될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는 배터리 가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원가 절감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어 전기차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2004년 미국 현지 연구법인인 LGCPI를 통해 460만달러(48억원) 규모의 하이브리드카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지금까지 USABC로부터 총 4개의 프로젝트를 따냈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프로젝트 수주로 LG화학의 독보적인 전기차 배터리 기술력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며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 연구 개발을 집중해 세계시장에서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2013년까지 충북 오창 공장과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 모두 2조원을 투자,35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또 2015년까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을 25% 이상으로 늘리고 매출 4조원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김동욱 기자 insight@hankyung.com
USABC는 전기차 배터리 개발을 위해 미국 에너지국(DOE)과 GM,포드,크라이슬러 등 자동차 3사가 구성한 컨소시엄이다. LG화학은 2013년까지 플러그인 전기차에 탑재될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는 배터리 가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원가 절감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어 전기차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2004년 미국 현지 연구법인인 LGCPI를 통해 460만달러(48억원) 규모의 하이브리드카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지금까지 USABC로부터 총 4개의 프로젝트를 따냈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프로젝트 수주로 LG화학의 독보적인 전기차 배터리 기술력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며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 연구 개발을 집중해 세계시장에서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2013년까지 충북 오창 공장과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 모두 2조원을 투자,35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또 2015년까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을 25% 이상으로 늘리고 매출 4조원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김동욱 기자 ins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