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 학교 활성화 방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초·중·고등학교가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운영하는 ‘방과후학교’가 3월 정규수업과 함께 시작된다.교사들의 업무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방과후학교 행정전담인력이 배치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이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방과후학교는 사교육 수요가 가장 많은 학년 초에 정규수업 운영과 함께 곧바로 시작한다.지금까지는 학생들이 이미 학원에 등록한 뒤인 3월 중순이나 말께 학교들이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을 공개해왔다.교과부는 각급 학교가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을 3월 이전에 세우고 학생·학부모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강좌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했다.방과후학교 활동 내용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고 토요일과 방학 중에도 지속적으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도록 했다.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방과후학교에 행정전담 인력을 학교 실정에 따라 배치하도록 했다.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에 ‘방과후학교 사업 지원’ 항목을 신설,인력 확보와 저소득층·농어촌 지원 등에 쓰기로 했다.
취약계층 지원과 돌봄 기능도 강화한다.학교들은 취약계층에 대한 학습,진로 상담 등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에 반드시 담아야 한다.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의 지원대상과 지원액을 2013년까지 차상위계층 100%(75만명)까지 월 5만원(연 60만원)으로 상향 조정한다.저소득층과 맞벌이 가정을 위해 모든 초등학교에 학생을 돌봐주는 ‘돌봄교실’을 운영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 ‘온종일 돌봄교실’로 전환을 추진키로 했다.돌봄교실은 올해 6500교실에서 내년 7000개,2013년 7400개로 늘린다.온종일 돌봄교실은 올해 1000개에서 내년 2000개,2013년 3000개로 늘릴 예정이다.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대학,지자체와 공동으로 방과후학교를 사업모델로 하는 사회적기업 육성도 추진하기로 했다.2013년까지 50개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건호기자 leekh@hankyung.com
교육과학기술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이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방과후학교는 사교육 수요가 가장 많은 학년 초에 정규수업 운영과 함께 곧바로 시작한다.지금까지는 학생들이 이미 학원에 등록한 뒤인 3월 중순이나 말께 학교들이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을 공개해왔다.교과부는 각급 학교가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을 3월 이전에 세우고 학생·학부모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강좌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했다.방과후학교 활동 내용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고 토요일과 방학 중에도 지속적으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도록 했다.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방과후학교에 행정전담 인력을 학교 실정에 따라 배치하도록 했다.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에 ‘방과후학교 사업 지원’ 항목을 신설,인력 확보와 저소득층·농어촌 지원 등에 쓰기로 했다.
취약계층 지원과 돌봄 기능도 강화한다.학교들은 취약계층에 대한 학습,진로 상담 등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에 반드시 담아야 한다.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의 지원대상과 지원액을 2013년까지 차상위계층 100%(75만명)까지 월 5만원(연 60만원)으로 상향 조정한다.저소득층과 맞벌이 가정을 위해 모든 초등학교에 학생을 돌봐주는 ‘돌봄교실’을 운영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 ‘온종일 돌봄교실’로 전환을 추진키로 했다.돌봄교실은 올해 6500교실에서 내년 7000개,2013년 7400개로 늘린다.온종일 돌봄교실은 올해 1000개에서 내년 2000개,2013년 3000개로 늘릴 예정이다.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대학,지자체와 공동으로 방과후학교를 사업모델로 하는 사회적기업 육성도 추진하기로 했다.2013년까지 50개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건호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