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실리콘밸리 진출 韓기업 크게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0730]최근 전 세계 정보기술(IT) 산업이 활발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첨단기술산업의 메카’로 불리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크게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IT 활황세만을 믿고 준비하지 않은 채 진출을 서두를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지비용과 인적 네트워크 부재, 시장 이해 부족으로 인해 실패 가능성도 큰 만큼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실리콘밸리 진출 한국 기업 급증
지난 31일 실리콘밸리 소재 코트라 코리아비즈니스센터(KBC)와 현지 컨설팅업체 등에 따르면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코트라 소유 빌딩에 입주한 한국 중소기업의 수는 46개사로 집계됐다. 작년 말 37개사에 비해 9개 증가한 것이다.
‘닷컴버블’ 붕괴 이후 대부분 한국 기업들이 철수한 이후인 지난 2007년 17개사였던 것에 비하면 3배 가까이로 늘어난 숫치다.코트라는 한국에서 진출하는 기업들이 입주할 경우 일정한 심사를 거쳐 임대비용 등에서 혜택을 주고 있다.
실리콘밸리 코트라 김영웅 관장은 “올 상반기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과 코트라빌딩 입주 등을 문의한 기업이 50개에 이른다” 며 “정확한 통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최근 실리콘밸리 지역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철저한 준비가 성공 관건
현지 전문가들은 최근 실리콘밸리의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인건비가 급상승하는 등 유지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데다 성과를 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점 등을 감안해 진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코트라는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 현지 법인 인력 확보 ▲ 미국시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 ▲ 장기 전략 수립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IT센터 권경무 팀장은 “미국 진출을 꾀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이미 이 곳과 비즈니스를 하고 있어 대부분 미국 비즈니스 방식을 이해하지만 간혹 미국시장에 대한 이해는 커녕 간단한 계약 관련 용어조차 모르는 경우도 있는 것이 사실” 이라며 “미국에서 안착하는데 최소 3∼4년은 걸리는 만큼 조급해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실리콘밸리 진출 한국 기업 급증
지난 31일 실리콘밸리 소재 코트라 코리아비즈니스센터(KBC)와 현지 컨설팅업체 등에 따르면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코트라 소유 빌딩에 입주한 한국 중소기업의 수는 46개사로 집계됐다. 작년 말 37개사에 비해 9개 증가한 것이다.
‘닷컴버블’ 붕괴 이후 대부분 한국 기업들이 철수한 이후인 지난 2007년 17개사였던 것에 비하면 3배 가까이로 늘어난 숫치다.코트라는 한국에서 진출하는 기업들이 입주할 경우 일정한 심사를 거쳐 임대비용 등에서 혜택을 주고 있다.
실리콘밸리 코트라 김영웅 관장은 “올 상반기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과 코트라빌딩 입주 등을 문의한 기업이 50개에 이른다” 며 “정확한 통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최근 실리콘밸리 지역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철저한 준비가 성공 관건
현지 전문가들은 최근 실리콘밸리의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인건비가 급상승하는 등 유지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데다 성과를 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점 등을 감안해 진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코트라는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 현지 법인 인력 확보 ▲ 미국시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 ▲ 장기 전략 수립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IT센터 권경무 팀장은 “미국 진출을 꾀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이미 이 곳과 비즈니스를 하고 있어 대부분 미국 비즈니스 방식을 이해하지만 간혹 미국시장에 대한 이해는 커녕 간단한 계약 관련 용어조차 모르는 경우도 있는 것이 사실” 이라며 “미국에서 안착하는데 최소 3∼4년은 걸리는 만큼 조급해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