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사업장의 복수노조가 시행된 지난 7월 한 달간 모두 322개의 노조가 설립됐다. 이 가운데 86%가 상급단체를 선택하지 않은 독립노조로 나타나 양대노총이 분할해왔던 노동현장의 세력판도에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특히 민주노총의 투쟁노선에 반대하며 분화한 90개 노조 가운데 절반이 넘는 47개가 조합원 과반수를 확보해 투쟁일변도의 노동운동에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복수노조 허용 이후 한 달간 설립신고를 낸 노조는 322개이며 이 중 74.5%(240개)가 기존 양대노총에서 분화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중 민주노총 분화노조는 90개(28%),한국노총 분화노조는 120개(37.3%),양대노총 혼재사업장 분화노조는 30개 등으로 한국노총 분화노조가 많았다. 미가입 노조분화는 36개(11.2%)이고 무노조 사업장에서 신규 설립은 46개(14.3%)였다.

또 새 노조의 86%(277개)는 상급단체에 미가입한 독립노조였고 한국노총(31개)과 민주노총(14개) 가입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설립신고 건수는 7월 초순 하루평균 27.8개였으나 하순에는 8.6개로 뚝 떨어져 안정국면에 접어들었다.

새 노조 중 조합원의 과반수를 차지한 노조는 78개(28.3%),전체 근로자의 과반수를 차지한 노조는 61개(19.6%)로 집계됐다. 특히 조합원의 과반수를 차지한 노조는 투쟁노선을 걸어온 민주노총이 KEC(조합원 467명),서부발전(조합원 750명) 등 47개에 달했고 온건노조의 한국노총은 24개에 불과했다. 고용부는 "이 같은 흐름은 투쟁중심의 운동노선에 싫증을 느낀 조합원들이 온건노선을 선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