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은행 부실채권 연내 10조 줄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전성 악화대비 감축 요구
금융당국이 은행에 올해 말까지 10조원 안팎의 부실채권을 줄이라고 요구했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과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계속 불안해질 경우 실물경기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은행의 손실 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차원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달 내 은행들로부터 하반기 부실채권 감축 목표를 제출받을 계획"이라고 9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은행들의 부실채권비율(전체 채권에서 고정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을 올해 말께 1.5% 수준으로 낮출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은 1.73%다. 이는 3개월 전보다 0.27%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지난 4월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올해 말까지 부실채권 비율을 1.5%로 낮춰야 한다고 제시했다. 금감원은 지금의 대출채권과 부실채권 신규 발생 추이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하반기 중 정리해야 하는 부실채권은 10조원 안팎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별로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비중,업종별 여신 비중 등이 다르므로 획일적으로 부실채권 감축목표를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은행별 사정을 고려해 은행권 평균 부실채권 비율이 올해 말께 1.5% 수준으로 낮아지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각 또는 매각,대출 회수,자산 유동화 등 부실채권 감축 방식은 은행이 자율적으로 택하게 된다. 은행권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PF 정상화뱅크를 이미 선택했다. 은행들은 이를 통해 올 4분기 중 1조원가량의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부실채권 처리 및 투자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유경재 삼정KPMG 상무는 "최근 미국발 금융쇼크로 은행들이 예상보다 더 많은 부실채권을 내놓을 것"이라며 "부실채권 투자자들은 위축된 상태지만 2008년 당시와 달리 은행권 배드뱅크인 유암코와 우리금융 자회사인 우리F&I 등 부실채권 처리 전문 기관이 있어 시장에서 활발히 소화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달 내 은행들로부터 하반기 부실채권 감축 목표를 제출받을 계획"이라고 9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은행들의 부실채권비율(전체 채권에서 고정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을 올해 말께 1.5% 수준으로 낮출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은 1.73%다. 이는 3개월 전보다 0.27%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지난 4월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올해 말까지 부실채권 비율을 1.5%로 낮춰야 한다고 제시했다. 금감원은 지금의 대출채권과 부실채권 신규 발생 추이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하반기 중 정리해야 하는 부실채권은 10조원 안팎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별로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비중,업종별 여신 비중 등이 다르므로 획일적으로 부실채권 감축목표를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은행별 사정을 고려해 은행권 평균 부실채권 비율이 올해 말께 1.5% 수준으로 낮아지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각 또는 매각,대출 회수,자산 유동화 등 부실채권 감축 방식은 은행이 자율적으로 택하게 된다. 은행권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PF 정상화뱅크를 이미 선택했다. 은행들은 이를 통해 올 4분기 중 1조원가량의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부실채권 처리 및 투자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유경재 삼정KPMG 상무는 "최근 미국발 금융쇼크로 은행들이 예상보다 더 많은 부실채권을 내놓을 것"이라며 "부실채권 투자자들은 위축된 상태지만 2008년 당시와 달리 은행권 배드뱅크인 유암코와 우리금융 자회사인 우리F&I 등 부실채권 처리 전문 기관이 있어 시장에서 활발히 소화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