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철 일천만이산가족위원장(59 · 사진)에게 12일은 남다른 날이다. 1982년 8월12일 제1회 이산가족의 날 행사를 한 지 꼭 30년째 이기 때문이다. 1982년 황해도청년회에 참여한 뒤 줄곧 이산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뛰어온 그로서는 감회가 새로울 수밖에 없다. 그는 하루아침에 가족과 헤어진 뒤 분단된 조국에서 생이별의 아픔을 겪고 있는 남북 이산가족사의 산증인이기도 하다.

이 위원장은 11일 기자와 만나 "6 · 25전쟁 종전 당시에는 500만명 정도의 이산가족이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 사망하고 75만명 정도만 남았다"며 무거운 표정을 지었다. 10대에 가족과 이별한 사람도 벌써 70대의 고령에 이른 터라 가족 상봉을 위해 기다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올해도 이산가족의 날 30주년 행사를 해야 하지만 혹서기에 참석하는 어르신들에게 불상사가 생길까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그는 올해 행사를 9월10일에 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 자신은 부산에서 태어나 북한에 있는 가족에 대한 기억이 없다. 그러나 북한에 부모와 형제자매를 두고 월남한 부친을 보며 이산가족의 마음에 맺힌 응어리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깨달았다.

그는 "부모님이 명절에 차례상을 차려놓고 생사도 모르는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걸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며 "이 한을 풀어주고 싶어 이산가족 모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2000년 '이북도민청년연합회'를 만들었다. 2003년까지 4년간 회장으로 일했다. 일천만이산가족위원장으로 일하기 시작한 건 2007년부터다. 그동안 많은 일을 했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성사됐던 총18차례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재결합이 보장되지 않는 일회성 만남인 탓에 이산가족에게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함께 살 수 없다면 상봉이 아니라 단순한 면회일 뿐"이라며 "짧은 만남으로 안타까운 마음만 더해져 이산가족 상봉을 한 사람의 60~70% 정도는 괜히 만났다는 생각을 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최근 정부에 국제적십자사에서 권유하는 상봉 방식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생사와 거주지 확인,서신 교환,상호 방문,자유 의사에 따른 재결합 순으로 절차를 밟아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 인권 보장 차원에서 이산가족 문제에 접근해달라고 국제사회에 호소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올해 3월에도 유엔 인권이사회에 위원회 대표단을 파견해 이런 입장을 전달했다.

국제활동을 하기 위해 비정부기구(NGO)인 '이산가족교류재단'(가칭)을 세우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이 위원장은 "교류재단을 만들어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기 위한 포럼과 세미나를 여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벌일 계획"이라며 "정부 관계자와 협의하면서 재단 설립을 구체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