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치아 거의 없는 노인, 치매 확률 2배 높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년기 치아 건강
틀니 끼웠다 빼기 불편
임플란트, 씹는 힘 좋아져
진짜 치아같아 자신감 상승
틀니 끼웠다 빼기 불편
임플란트, 씹는 힘 좋아져
진짜 치아같아 자신감 상승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바로 '먹는(食) 행위'다. 음식물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면 몸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하고 영양분이 결핍되면서 인체 기능과 조직 발달에 문제가 생긴다.
음식물을 섭취하는 첫 번째 관문은 바로 치아다. 치아를 통해 1차 소화기관 기능인 씹는(저작) 활동을 해줘야 알맞게 분쇄된 음식물이 장에서 2차적으로 소화가 이뤄져 영양분이 섭취되고 몸 구석구석으로 그 영양분이 전달된다. 하지만 치아가 제 기능을 못하면 제대로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이 장으로 전달돼 소화기관에 무리를 주거나,씹기 편한 음식물만 섭취하다가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이런 문제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노화로 소화기관의 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침 분비량이 감소하면서 입 안이 마르고 세균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치 발생 확률도 더 높다.
일본 후생노동성 연구팀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치아가 거의 없는 노인이 치매에 걸릴 확률은 치아가 20개 이상 남아 있는 노인보다 1.9배 높다. 또 영국 킹스칼리지 연구팀은 치아가 없는 노인이 전부 혹은 일부 남은 사람보다 인지능력 장애 위험이 3.6배나 높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처럼 노년기의 치아 건강은 치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육체 건강 및 정신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아만 튼튼해도 우울해지고 자신감을 잃기 쉬운 노년기의 정신 상태를 벗어날 수 있다.
그동안 치아 없는 노인들의 주된 치료법은 틀니였다. 그러나 틀니는 매일 정성껏 세척해야 하고,대화하거나 운동할 때 행여나 빠질까봐 주의해야 하는 등 신경쓸 게 많다. 틀니는 가격이 저렴하고 시술 기간도 짧은 장점이 있지만 음식을 먹을 때마다 씹는 힘이 잇몸으로 그대로 전달돼 잇몸이 눌리는 듯한 통증을 겪어야 한다.
이물감 때문에 착용하기에도 불편하다. 끼웠다 뺐다 하는 과정도 번거롭다. 실제 잇몸과 함께 움직이는 치아가 아니어서 씹는 힘도 약해 음식물이 잘 부서지지 않고 소화 기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틀니를 잘 사용하더라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잇몸 뼈의 흡수(소실)가 일어나며,3~4년 주기로 틀니를 다시 조정하거나 교체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같은 틀니의 단점들도 임플란트 시술이 등장하면서 극복할 수 있게 됐다. 임플란트는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fixture)을 턱뼈에 심고,그 위에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는 시술법이다. 인공치근을 심는 외과적 시술에 3~6개월이 소요되긴 하지만 자신의 치아처럼 보일 정도로 심미성이 뛰어나 외모적인 측면에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자연 치아에 육박하는 씹는 힘과 잇몸 손상을 걱정할 필요가 거의 없는 점은 치아의 기본적 기능을 거의 대부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노인 임플란트 전문 룡플란트치과 천호점의 김기록 원장은 "노인 임플란트 시술로 치아 기능을 복원해 씹는 즐거움까지 느끼면 노인들이 삶의 질적 향상을 체감하게 된다"고 말했다.
룡플란트치과에서는 노인 특성에 맞는 시술법과 시술 환경으로 노인 환자를 맞고 있다. 노인 치아 맞춤형 '최소침습 시술법'은 잇몸 조직을 절개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로 절개해 임플란트를 심는 방법이다. 잇몸의 극히 일부분만을 노출시켜 시술하기 때문에 통증이나 출혈이 거의 없고 회복시간도 크게 단축된다.
특히 당뇨병 고혈압 등을 앓거나 면역력이 약해 감염 위험이 높은 노인에게 적합하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치료 비용은 노인이 가장 선호할 만한 강점이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음식물을 섭취하는 첫 번째 관문은 바로 치아다. 치아를 통해 1차 소화기관 기능인 씹는(저작) 활동을 해줘야 알맞게 분쇄된 음식물이 장에서 2차적으로 소화가 이뤄져 영양분이 섭취되고 몸 구석구석으로 그 영양분이 전달된다. 하지만 치아가 제 기능을 못하면 제대로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이 장으로 전달돼 소화기관에 무리를 주거나,씹기 편한 음식물만 섭취하다가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이런 문제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노화로 소화기관의 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침 분비량이 감소하면서 입 안이 마르고 세균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치 발생 확률도 더 높다.
일본 후생노동성 연구팀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치아가 거의 없는 노인이 치매에 걸릴 확률은 치아가 20개 이상 남아 있는 노인보다 1.9배 높다. 또 영국 킹스칼리지 연구팀은 치아가 없는 노인이 전부 혹은 일부 남은 사람보다 인지능력 장애 위험이 3.6배나 높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처럼 노년기의 치아 건강은 치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육체 건강 및 정신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아만 튼튼해도 우울해지고 자신감을 잃기 쉬운 노년기의 정신 상태를 벗어날 수 있다.
그동안 치아 없는 노인들의 주된 치료법은 틀니였다. 그러나 틀니는 매일 정성껏 세척해야 하고,대화하거나 운동할 때 행여나 빠질까봐 주의해야 하는 등 신경쓸 게 많다. 틀니는 가격이 저렴하고 시술 기간도 짧은 장점이 있지만 음식을 먹을 때마다 씹는 힘이 잇몸으로 그대로 전달돼 잇몸이 눌리는 듯한 통증을 겪어야 한다.
이물감 때문에 착용하기에도 불편하다. 끼웠다 뺐다 하는 과정도 번거롭다. 실제 잇몸과 함께 움직이는 치아가 아니어서 씹는 힘도 약해 음식물이 잘 부서지지 않고 소화 기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틀니를 잘 사용하더라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잇몸 뼈의 흡수(소실)가 일어나며,3~4년 주기로 틀니를 다시 조정하거나 교체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같은 틀니의 단점들도 임플란트 시술이 등장하면서 극복할 수 있게 됐다. 임플란트는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fixture)을 턱뼈에 심고,그 위에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는 시술법이다. 인공치근을 심는 외과적 시술에 3~6개월이 소요되긴 하지만 자신의 치아처럼 보일 정도로 심미성이 뛰어나 외모적인 측면에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자연 치아에 육박하는 씹는 힘과 잇몸 손상을 걱정할 필요가 거의 없는 점은 치아의 기본적 기능을 거의 대부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노인 임플란트 전문 룡플란트치과 천호점의 김기록 원장은 "노인 임플란트 시술로 치아 기능을 복원해 씹는 즐거움까지 느끼면 노인들이 삶의 질적 향상을 체감하게 된다"고 말했다.
룡플란트치과에서는 노인 특성에 맞는 시술법과 시술 환경으로 노인 환자를 맞고 있다. 노인 치아 맞춤형 '최소침습 시술법'은 잇몸 조직을 절개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로 절개해 임플란트를 심는 방법이다. 잇몸의 극히 일부분만을 노출시켜 시술하기 때문에 통증이나 출혈이 거의 없고 회복시간도 크게 단축된다.
특히 당뇨병 고혈압 등을 앓거나 면역력이 약해 감염 위험이 높은 노인에게 적합하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치료 비용은 노인이 가장 선호할 만한 강점이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