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ㆍLED…미래 성장동력 확보 '산 넘어 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강자에 포위되는 한국기업 - 비상 걸린 국내 新수종사업
기술은 日에 밀리고 정부지원은 中에 뒤지고…기업들 설비투자 갈팡질팡
기술은 日에 밀리고 정부지원은 中에 뒤지고…기업들 설비투자 갈팡질팡
글로벌 메가딜 바람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미래 먹을거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삼성이 지난해 태양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등 5대 신수종사업을 선정하는 등 대기업들이 잇따라 신성장동력 확보에 뛰어들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확은 신통치 않다는 진단이 일반적이다.
출발이 늦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올 들어 많은 대기업들이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태양광은 이미 레드오션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태양전지 시장은 가격 경쟁력에서 앞서는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했고,연초 삼성 LG 등이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폴리실리콘도 2분기 이후 가격이 급락하고 있어 향후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가격에선 후발 국가에 밀리고,기술은 선진국에 뒤지는 '샌드위치 현상'도 두드러진다. 풍력 바이오 분야는 유럽과 미국,일본 기업들이 이미 자리를 잡고 있는 터라 기술 격차를 따라잡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반도체,조선 등 응용 기술이 적용된 분야에선 선두 업체들과의 격차를 좁히는 게 상대적으로 쉬웠지만 소재 등 기초 연구 기반이 중요해지면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국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도 음극재와 분리막 등 핵심 소재는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지리적인 한계도 장애물 중 하나로 꼽힌다. 일조량이 적은 데다 산악 지형이 많은 탓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 산업을 확대하기가 불리하다.
업계 관계자는 "내수 시장이 좁다보니 수출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금융위기 영향으로 발주가 줄면서 국내 기업들이 새 시장을 뚫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전했다.
기업을 도와줘야 할 정부가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수도권 규제 완화가 지지부진해지면서 KCC의 1조2000억원 규모 태양전지용 유리공장 증설이 무산되는 등 기업들의 설비 투자는 갈피를 못 잡고 있다. 정치 논리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이 추진되면서 LED산업 향방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재계 관계자는 "기술력은 일본에 떨어지고,정부 지원은 중국에 밀리는 상황에서 정부 정책 방향은 이도저도 아니다"며 "기업들이 원하는 것은 직접적인 자금 지원보다는 공장 증설을 쉽게 한다거나 인증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제도를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외국도 중소기업이 성장해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며 "기업들이 투자를 마음놓고 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
출발이 늦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올 들어 많은 대기업들이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태양광은 이미 레드오션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태양전지 시장은 가격 경쟁력에서 앞서는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했고,연초 삼성 LG 등이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폴리실리콘도 2분기 이후 가격이 급락하고 있어 향후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가격에선 후발 국가에 밀리고,기술은 선진국에 뒤지는 '샌드위치 현상'도 두드러진다. 풍력 바이오 분야는 유럽과 미국,일본 기업들이 이미 자리를 잡고 있는 터라 기술 격차를 따라잡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반도체,조선 등 응용 기술이 적용된 분야에선 선두 업체들과의 격차를 좁히는 게 상대적으로 쉬웠지만 소재 등 기초 연구 기반이 중요해지면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국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도 음극재와 분리막 등 핵심 소재는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지리적인 한계도 장애물 중 하나로 꼽힌다. 일조량이 적은 데다 산악 지형이 많은 탓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 산업을 확대하기가 불리하다.
업계 관계자는 "내수 시장이 좁다보니 수출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금융위기 영향으로 발주가 줄면서 국내 기업들이 새 시장을 뚫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전했다.
기업을 도와줘야 할 정부가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수도권 규제 완화가 지지부진해지면서 KCC의 1조2000억원 규모 태양전지용 유리공장 증설이 무산되는 등 기업들의 설비 투자는 갈피를 못 잡고 있다. 정치 논리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이 추진되면서 LED산업 향방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재계 관계자는 "기술력은 일본에 떨어지고,정부 지원은 중국에 밀리는 상황에서 정부 정책 방향은 이도저도 아니다"며 "기업들이 원하는 것은 직접적인 자금 지원보다는 공장 증설을 쉽게 한다거나 인증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제도를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외국도 중소기업이 성장해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며 "기업들이 투자를 마음놓고 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