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신문 ◇ 농협·우리·신한, 가계대출 전면중단 일부 은행이 이달말까지 가계대출을 내주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입니다. 금융계에 따르면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은 지난 17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주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모든 가계 대출을 중단했다고 하는데요, 대출 중단에 대한 파장이 커지며 여론이 악화되자 농협은 용도가 확실한 대출은 재개하고 신한과 하나은행 등도 대출 중단 공문 발송을 철회했습니다. ◇ 印 진출 한국기업 '세금폭탄' 6개월새 3000억원 추징당해 인도 세무당국의 무차별적인 세무조사로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최근 6개월새 3천억원을 추징당했다는 내용입니다. 인도 정부가 세수 확보를 위해 외국 투자 기업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고 있어 현대자동차등 우리 기업의 조세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한국경제신문은 전망했습니다. ◇ 하나금융 '외환銀 인수' 내달 판가름 날 듯 하나금융지주가 외환은행을 올해 중 인수할 수 있을지 여부가 다음달 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는 소식입니다. 외환은행 강제 매각 여부를 결정짓는 론스타코리아의 외환카드 주가 조작 판결이 다음달 중 나올 전망이기 때문인데요, 금융위 관계자 역시 "법적 근거가 명확하면 금융위가 강제 매각 결정을 내리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치 않다"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습니다. ◇ 애플, 日샤프에 10억弗 투자 '수상한 거래' 요즘 애플과 삼성의 기사가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죠, 애플이 일본 샤프의 LCD패널 생산라인에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삼성전자와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특허소송을 벌이고 있는 만큼 삼성 부품 의존도를 점차 줄이는 결별 수순에 들어간 것이란 관측이 많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조선일보 살펴보겠습니다. ■ 조선일보 ◇ SW학과, 유명대학도 수년간 정원미달 최근 이건희 삼성 회장이 IT산업의 중심이 소프트웨어로 옮겨가고 있다고 말할만큼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정작 대학교의 소프트웨어학과 정원이 늘 미달되면서 소프트웨어 인재가 바닥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는 5년, 카이스트 전산학과는 7년간 정원이 미달됐다고 합니다. ◇ 中企 물려줄 때 고용 유지하면 상속세 감면 청와대가 중소기업을 물려줄 때 고용을 유지하면 상속세를 크게 감면해주는 내용의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은 18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독일식 상속세'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하는데요, 상속세율이 최고 50%에 달해 가업승계가 어려웠던 중소기업들이 이번 움직임에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이어서 중앙일보입니다. ■ 중앙일보 ◇ 요세미티서 돌아온 양승태 대법원장 인사에 대한 기사인데요, 이명박 대통령이 다음달 25일 퇴임하는 이용훈 대법원장의 후임으로 양승태 전 대법관을 지명하면서 양 후보자가 미국에서 급히 돌아왔다는 내용인데요, 미국 시에라네바다 산맥에 위치한 요세미티 국립공원을 도보로 여행하고 있던 양 후보자는 그동안 인사검증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이 대통령의 설득에 맘을 돌렸다고 중앙일보는 전했습니다. ◇ 새 민정수석 정진영·김회선 압축 이어서 역시 청와대 민정수석 인사에 대한 기삽니다. 중앙일보는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의 후임이 정진영 변호사와 김회선 변호사로 압축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그 둘에 대해 "청와대와 법무부·검찰 간에 가교 역할을 잘할 인물"로 평가하며 "이명박 대통령이 조만간 둘 중 한 명을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아일보입니다. ■ 동아일보 ◇ 낙태반대 '아이러니'...10대 미혼모 늘었다 낙태를 반대하는 사회운동단체들이 낙태 근절 운동을 벌여온지 1년 반이 지났는데요, 오히려 시술병원이 절반으로 줄면서 비용이 폭등해 청소년 미혼모 양산이 현실화됐다는 내용입니다. 동아일보는 여기에 양육비 등 지원금 대책은 쥐꼬리만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집 한채만 임대해도 양도세 중과 안한다 이르면 10월부터 수도권에서 주택을 한 채라도 전월세 임대를 놓으면 양도세 중과대상에서 빠지고 종합부동산세도 감면받는다는 소식입니다. 이 신문은 임대 주택이 한두채에 불과해 임대사업자 세제혜택을 받지 못했던 수도권 다주택자들이 5년만 임대를 놓으면 1주택자와 다름없는 혜택을 받게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서연기자 sy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