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 포함 땐 한국 점유율 이미 9% 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바마, 한국인 미국車 더 타야 한다는데…현대ㆍ기아 美 점유율 앞서
"양국 판매 집계방식 차이…車 무역 불균형은 오해"
"양국 판매 집계방식 차이…車 무역 불균형은 오해"
"엄청난 수의 현대 · 기아자동차가 미국 도로를 달리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포드와 크라이슬러,쉐보레를 운전하는 사람들을 보고 싶다.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민심 탐방 버스투어를 하며 네차례나 이같이 언급,국내 자동차 업계가 진의 파악에 분주하다.
업계에선 오바마가 통상마찰을 염두에 둔 것이라기보다는 미 의회를 상대로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 법안처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한편에선 한국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9%인데 미국차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0.5%에 불과,자동차 무역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미국 정부와 정치인들의 인식이 그대로 녹아 있는 것이며 안심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한국GM에서 생산하는 쉐보레를 포함하면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미국 브랜드 점유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0.5%보다 훨씬 높은 9.2%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통계 집계방식의 차이에서 나온 오해이며 미국 정부가 자주 들고 나오는 자동차 무역 불균형이 실상과 다르다는 얘기다. 오바마가 미국에서 팔리는 현대 · 기아차 절반가량을 미국인들이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한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정부와 현지 언론들은 올해 상반기 한국 브랜드인 현대 · 기아차의 미국 시장 판매 점유율은 9%에 이르지만 미국 브랜드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0.5%라는 통계를 인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자동차 업계는 한 · 미 양국의 자동차 판매실적 발표기준이 다르고 이에 따라 미국 브랜드의 한국 시장 점유율이 낮게 집계되고 있을 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미국은 브랜드별로 판매 실적을 집계한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올해 상반기 현대 · 기아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9.0%다. 물론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차 조지아 공장 등 미국 현지 생산분이 포함된 수치다. 현지 생산분은 현대 · 기아차 전체 판매량(56만7901대)의 절반(45.3% · 25만7314대)이기 때문에 수출분(31만587대)만 집계하면 점유율은 4.9%로 떨어진다.
반면 국내에선 GM 한국법인인 한국GM의 생산분을 수입 브랜드로 취급하지 않는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회원사 판매분만 집계해 수입 브랜드 판매 실적으로 발표한다. 이 기준으로 보면 미국 브랜드의 올해 상반기 한국 시장 점유율은 0.5%다.
미국과 같은 기준을 적용해 한국GM이국내에서 생산 판매한 차량을 미국 브랜드로 분류하면 점유율은 9.2%(7만2983대)까지 올라간다. 프랑스 르노 계열인 르노삼성을 유럽 브랜드로 취급하면 유럽 브랜드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11.6%(9만1726대)이고 전체 외국 브랜드 점유율은 25%(19만7239대)로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항구 한국산업연구원 팀장은 "미국 기준을 적용하면 미국 브랜드의 한국시장 점유율은 9.2%로 현대 · 기아차의 미국시장 점유율 9.0%보다 높다"며 "한 · 미 자동차 무역 실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통계 기준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년 한국자동차공업협회(KAMA) 통상협력팀 부장은 "한 · 미 FTA 비준 절차를 앞둔 만큼 양국간 집계 방식 차이에서 비롯된 오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업계에선 오바마가 통상마찰을 염두에 둔 것이라기보다는 미 의회를 상대로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 법안처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한편에선 한국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9%인데 미국차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0.5%에 불과,자동차 무역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미국 정부와 정치인들의 인식이 그대로 녹아 있는 것이며 안심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한국GM에서 생산하는 쉐보레를 포함하면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미국 브랜드 점유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0.5%보다 훨씬 높은 9.2%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통계 집계방식의 차이에서 나온 오해이며 미국 정부가 자주 들고 나오는 자동차 무역 불균형이 실상과 다르다는 얘기다. 오바마가 미국에서 팔리는 현대 · 기아차 절반가량을 미국인들이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한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정부와 현지 언론들은 올해 상반기 한국 브랜드인 현대 · 기아차의 미국 시장 판매 점유율은 9%에 이르지만 미국 브랜드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0.5%라는 통계를 인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자동차 업계는 한 · 미 양국의 자동차 판매실적 발표기준이 다르고 이에 따라 미국 브랜드의 한국 시장 점유율이 낮게 집계되고 있을 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미국은 브랜드별로 판매 실적을 집계한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올해 상반기 현대 · 기아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9.0%다. 물론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차 조지아 공장 등 미국 현지 생산분이 포함된 수치다. 현지 생산분은 현대 · 기아차 전체 판매량(56만7901대)의 절반(45.3% · 25만7314대)이기 때문에 수출분(31만587대)만 집계하면 점유율은 4.9%로 떨어진다.
반면 국내에선 GM 한국법인인 한국GM의 생산분을 수입 브랜드로 취급하지 않는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회원사 판매분만 집계해 수입 브랜드 판매 실적으로 발표한다. 이 기준으로 보면 미국 브랜드의 올해 상반기 한국 시장 점유율은 0.5%다.
미국과 같은 기준을 적용해 한국GM이국내에서 생산 판매한 차량을 미국 브랜드로 분류하면 점유율은 9.2%(7만2983대)까지 올라간다. 프랑스 르노 계열인 르노삼성을 유럽 브랜드로 취급하면 유럽 브랜드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11.6%(9만1726대)이고 전체 외국 브랜드 점유율은 25%(19만7239대)로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항구 한국산업연구원 팀장은 "미국 기준을 적용하면 미국 브랜드의 한국시장 점유율은 9.2%로 현대 · 기아차의 미국시장 점유율 9.0%보다 높다"며 "한 · 미 자동차 무역 실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통계 기준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년 한국자동차공업협회(KAMA) 통상협력팀 부장은 "한 · 미 FTA 비준 절차를 앞둔 만큼 양국간 집계 방식 차이에서 비롯된 오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