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업, 몽골 10만 가구 주택건설 참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몽골, 경제협력 합의
구리·석탄·몰리브덴 등 초원 땅속은 '광물의 寶庫'
세계 10대 자원國 사업 기회
구리·석탄·몰리브덴 등 초원 땅속은 '광물의 寶庫'
세계 10대 자원國 사업 기회
이명박 대통령의 몽골 방문을 계기로 세계적 자원 부국인 몽골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사업 기회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최근 원자재가격 급등을 계기로 매년 6~10%의 고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몽골의 인프라와 주택건설 분야에도 활발한 진출이 기대된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과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몽골 대통령이 양국 관계를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함에 따라 정치 · 외교뿐 아니라 경제적 협력 수준도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22일 밝혔다. 두 나라는 1990년 수교 이래 1999년부터 '상호보완적 협력관계',2006년 이후엔 '선린 우호 · 협력 동반자'로 관계를 계속 발전시켜 왔다.
한 · 몽관계의 격상으로 가장 기대되는 것은 한국 기업의 몽골 자원개발 참여다. 몽골은 세계 10위의 자원 대국이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석탄 동 금 우라늄 몰리브덴 주석 등 발견된 광물 중 개발 가능한 것만 80종류가 넘는다. 특히 동(5500만t · 세계 2위) 석탄(1750억t · 세계 4위) 몰리브덴(21t · 세계 7위)의 매장량이 풍부하다. 국내총생산(GDP)의 22%를 광업이 차지할 정도로 광물자원에 대한 경제의존도도 높다.
때문에 몽골에는 인접한 러시아와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 기업이 일찌감치 진출해 있다. 이에 비하면 한국 기업은 한발 늦은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한 · 몽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 기업의 몽골 자원개발사업 진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식경제부와 몽골 자원에너지부 간에 체결한 '에너지 · 자원 분야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가 추진 동력이 될 전망이다. 두 나라는 양해각서에서 △자원탐사 및 정보 교류 강화 △친환경 석탄연료 개발 · 보급 협력 △기후변화 공동 프로젝트 발굴 △화력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술 교류 강화 등을 약속했다.
또 급성장하고 있는 몽골의 건설 분야에도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몽골 경제는 2004년부터 연 6%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 두 정상은 우선 몽골 정부가 진행 중인 10만가구 아파트 건설 프로그램에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또 도로 철도 항공 · 해상 등 분야에서 인프라 확충 등 교통 물류 협력을 증진하는 한편 항공노선을 확대하고 몽골 세관업무도 개선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앞으로는 해마다 발생하는 황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몽골의 사막화 방지에 공동 노력하고, 현재 추진 중인 '몽골 그린벨트 조림사업(2007~2016년)'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 밖에 약 3만명에 달하는 몽골 근로자가 국내에 체류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복수 사증 발급을 확대하고,사증 발급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양국 간 인적교류 확대 기반을 조성키로 했다.
울란바토르(몽골)=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