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설립한 암호화폐 플랫폼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1을 출시한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하지 않도록 미 달러 같은 법정화폐와 일정한 교환가치를 가지도록 설계한 암호화폐다.29일 업계에 따르면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은 지난 25일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1을 곧 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USD1은 1달러 가치에 고정되며 단기 미국 국채, 달러 예치금, 기타 현금성 자산 등으로 전액 담보된다. 이더리움과 바이낸스체인 위에서 발행되며, 향후 다른 블록체인으로도 확장될 전망이다. 준비금은 커스터디 업체인 비트고에 보관하며 외부 감사도 정기적으로 받을 예정이다.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화의 글로벌 지배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디지털자산 콘퍼런스 연설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 장관도 달러화의 글로벌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폭발적 성장에 트럼프 일가도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는 분석도 나온다.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 퀀트에 따르면 달러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지난 1년 동안 46% 성장했다. 특히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자인 테더는 작년에만 130억달러(약 19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 자산운용사 번스타인은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가 내년까지 5000억달러(약 727조2500억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이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시장
중국산 로봇청소기가 시장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5위 스마트폰 업체인 중국 비보가 가정용 로봇 사업 진출을 선언해 주목된다. 세계 1~2위 인구 대국인 중국·인도와 신흥시장 동남아시아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만큼 가정용 로봇 분야에 속도를 낼 경우 경쟁력 있는 업체로 부상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비보는 '아시아의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중국 보아오포럼에서 독립적인 로봇공학연구소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후 바이산 비보 총괄부사장은 보아오포럼 첫날인 지난 25일 별도 세션에서 진행된 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비보는 인공지능(AI)과 로봇 공학이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통합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고 있다. 이 두 영역을 잇는 가교 역할을 스마트폰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후 부사장도 당시 연설에서 "휴대폰이 수십년간 새로운 산업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해왔다"고 말했다.비보는 두뇌(AI)와 시각(Vision·비전)에 초점을 맞춰 연구개발(R&D)을 진행한다. 연구개발로 축적한 기술력을 발판 삼아 가정용 로봇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것이 이 회사의 구상이다. 개인·가정용 로봇 제품을 개발해 소비자 시장에 집중한다는 목표다. 비보는 로봇공학연구소 설립 발표와 함께 인재 확보에 나섰다. 채용 대상은 로봇공학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연구팀을 이끌 능력을 갖춘 수석급 공학자다. 다만, 당장 전신 하드웨어를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과 같은 형태는 개발하지 않기로 했다. 후 부사장은 2023년 12월 비보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이번 연설에선 AI와 비전 기술 개
직장인 A씨는 국내에서 판매하지 않는 와인을 해외 직접구매(직구)로 주문했다가 깜짝 놀랐다. 와인 한 병을 사기 위해 30만원을 냈는데 관세를 비롯한 세금으로만 20만4700원이 부과된 탓이다. 해외직구 시 주류는 판매가격이 150달러 1병(1리터) 이하면 원산지 관계없이 관세 등을 면제받는다. 하지만 이를 초과하면 관세, 부가가치세 등을 부과할 수 있다. 자칫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다. 직구를 고려한다면 통관 과정에서 내는 세금까지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 불어난 해외직구…작년 8조 육박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해외직구액은 7조958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9.1% 증가한 것은 물론 사상 최대로 나타났다. 해외직구는 2014년에 1조6471억원에 머물렀지만 10년 만에 4배 이상 불어났다.해외직구는 해외 쇼핑몰에서 직접 주문·결제하고 배송받거나 구매대행업체를 통해 배송제품을 받는 방식으로 나뉜다.관세법에 따르면 개인이 직접 사용할 목적(자가사용)으로 해외서 들여오는 150달러(미국 제품은 200달러) 이하 제품은 목록통관 대상이다. 목록통관은 관세 및 부가세가 부과되지 않는 통관 방법을&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