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사들의 8월 중 하루 평균 카드대출액(카드론과 현금서비스 합계액)이 전달에 비해 300억원가량 줄었다. 신용카드 대출을 억제하라는 금융감독당국의 조치가 먹혀든 것이다.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가계빚을 줄여야 한다는 당국이 이뤄낸 긍정적인 성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부작용이다. 신용카드 회사에서 현금서비스를 이용한 회원들 가운데 고금리를 물고 있는 비율이 예전보다 크게 높아졌다. 카드대출을 늘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카드사들이 고금리를 부담하는 저신용자 현금서비스를 늘리거나,기존 고객에게 '연체'등을 이유로 고금리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삼성카드의 현금서비스를 이용한 회원 중 최고 금리인 연 28~30%를 부담한 회원은 21%에 달했다. 롯데카드는 이 비율이 18.49%였고 현대카드는 17.35%,KB국민카드는 16.61%였다. 지난 1분기에 비하면 각 사마다 4~5%포인트 높아졌다는 것이 카드사 관계자들의 얘기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 규제로 대출을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선별적으로 고객층을 고를 수밖에 없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최근 경기 불황으로 카드대출을 제때 갚지 못한 고객들이 늘면서 최고금리를 적용받게 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에선 카드사들은 하위 신용등급 회원을 적극 모집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상황에 따라 특정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낮은 등급의 회원을 모집하는 경우가 있다"며 "신용등급이 낮은 회원에겐 더 높은 수수료를 매길 수 있다는 것이 매력"이라고 말했다.

저신용자 대출로 카드사들은 상당한 이익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 2분기 현금서비스 수수료율은 카드사에 따라 0.6~1.39%포인트 높아졌다. 여기에 최근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까다롭게 심사하기 시작함에 따라 고금리 대출이 카드사뿐만 아니라 신협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다.

대출 규제가 가계빚 폭탄을 해체하기보다는 서민층의 가계부담을 늘리는 쪽으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금융감독당국은 알아야 한다.

김일규 경제부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