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담배 부작용 피해 증가"…올 상반기 45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자담배의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자담배 유형 제품' 관련 위해사례가 2009년 17건, 2010년 9건에서 올해 상반기 45건으로 늘었다고 30일 밝혔다.
전자담배 유형 제품은 전자담배 및 전자식 흡연욕구 저하제로 니코틴 포함 여부에 따라 담배나 의외약품으로 구분된다.
이 제품은 과다 흡입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성분이 알레르기 같은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전자담배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나 액상담배는 대부분 중국에서 담배를 제조하지 않는 업체가 생산, 국내 수입시 별도의 안전성 검증을 거치고 있지 않고 있다.
올해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목 통증이 10건(22.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두통 8건(17.8%), 구역·구토 및 입(술) 통증이 각각 5건(11.1%), 기침 4건(8.9%) 등이다.
소비자원은 이와 함께 전자담배 9개 제품의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3개 제품은 니코틴 함량의 단위를 표시하지 않았고, 5개 제품은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관계 당국에 전자담배 유형 제품의 표시·경고문구, 니코틴 함량표시 등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및 관리체계의 일원화를 건의할 것"이라며 "사업자에게는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기재하고 품질(니코틴 함량, 용기 구조)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자담배 유형 제품' 관련 위해사례가 2009년 17건, 2010년 9건에서 올해 상반기 45건으로 늘었다고 30일 밝혔다.
전자담배 유형 제품은 전자담배 및 전자식 흡연욕구 저하제로 니코틴 포함 여부에 따라 담배나 의외약품으로 구분된다.
이 제품은 과다 흡입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성분이 알레르기 같은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전자담배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나 액상담배는 대부분 중국에서 담배를 제조하지 않는 업체가 생산, 국내 수입시 별도의 안전성 검증을 거치고 있지 않고 있다.
올해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목 통증이 10건(22.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두통 8건(17.8%), 구역·구토 및 입(술) 통증이 각각 5건(11.1%), 기침 4건(8.9%) 등이다.
소비자원은 이와 함께 전자담배 9개 제품의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3개 제품은 니코틴 함량의 단위를 표시하지 않았고, 5개 제품은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관계 당국에 전자담배 유형 제품의 표시·경고문구, 니코틴 함량표시 등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및 관리체계의 일원화를 건의할 것"이라며 "사업자에게는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기재하고 품질(니코틴 함량, 용기 구조)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