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풍양속을 미덕으로 알던 코스인들은 당연히 옷을 입은 아프로디테상을 가져갔다. 누드상의 진가를 알아본 사람들은 개방적인 크니도스인들이었다. 그들은 이 눈부신 누드상을 안치하기 위해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의 원형 신전을 건설했다. 이곳은 순식간에 크니도스의 남성들이 즐겨 찾는 명소가 됐다. 크니도스뿐만 아니라 멀리서 이 누드상을 보기 위해 뭇 남성들이 눈에 불을 켜고 몰려들었다.
뒤늦게 누드상의 가치를 깨달은 코스의 니코메데스 왕은 크니도스가 코스에 진 엄청난 빚을 모두 탕감해주는 조건으로 누드상을 달라고 제안했다. 크니도스인들은 뜻밖에도 이 '빅딜' 제의에 코웃음을 쳤다. 그들에게 아프로디테상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물이었던 것이다.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상이 인기를 끈 것은 프락시텔레스라는 거장이 제작한 까닭도 있지만 그보다 이 조각상이 당대 그리스 전역에서 최고의 명성을 날리던 프라이니라는 창부를 모델로 했기 때문이다. 모든 남성들이 흠모해 마지않던 여인의 누드를 볼 수 있다니 너도나도 '불원천리'하고 달려간 것이다.
프라이니의 미모가 얼마나 대단했는지는 그녀가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를 기리는 제의를 모독한 죄로 아테네의 아레오파고스 재판정에 섰을 때 그녀의 눈부신 신체에 넋을 잃은 배심원들이 무죄를 선고한 데서도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착각하지 마시라.그들이 넋을 잃은 이유는 그녀의 누드가 풍기는 짙은 관능성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보다 그녀의 신체가 보여주는 완전무결한 아름다움 때문이었다. 그리스인들에게 완벽한 신체미는 곧 신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들은 프라이니의 육체에서 신의 숨결을 느꼈던 것이다.
완벽한 신체미의 이상은 8등신이었다. 신장과 머리 길이의 비율을 8 대 1로 규정한 이 비례를 고지식하게 적용하면 조각이 딱딱해질 수 밖에 없다. 초기 그리스 조각들이 온몸에 힘이 잔뜩 들어가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것은 규칙을 융통성 없이 적용했기 때문이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 콘트라포스토 자세로 한쪽 발에 무게중심을 두고 다른 쪽 발은 약간 구부려 전체적으로 완만한 S자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크니도스인들이 선택한 아프로디테의 신체미는 바로 이 콘트라포스토 자세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구현될 수 있었던 것이다.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는 신상이 점차 경건한 예배 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하나의 눈요깃감으로 변질돼가던 당시의 사회상을 말없이 보여준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밀로의 비너스'도 예배가 아닌 남성의 관음증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작된 혐의가 짙다. 가녀린 허리 아래로 아슬아슬하게 흘러내리는 옷자락을 보라.신성을 느끼기에는 너무 육감적이지 않은가.
정석범 문화전문기자 · 미술사학 박사 sukbumj@hankyung.com